이용호씨 28곳서 보물발굴 시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7면

이용호씨가 전남 진도 앞바다 말고도 거문도·거제도·군산 앞바다 등 28군데에서 보물 발굴 사업을 추진, 이중 12곳에서 허가를 받아 작업해 왔음이 밝혀졌다.
본지가 입수한 G&G그룹의 '해저 매장물 발굴 예정 지역'이라는 문서에 따르면 李씨는 2000년과 지난해 모두 12건의 발굴 허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은 신모(54)씨 등 개인 발굴 업자들과 함께 벌인 사업이다.
또 '해저 매장물 발굴 예정 지역(미허가분)'이라는 문서에는 목포 하의도·대흑산도 앞 등 25개 지역에 걸쳐 보물선 침몰 지점과 매장물 내용을 구체적으로 적은 내역이 담겨 있어 보물 발굴 사업이 대규모로 진행됐음을 보여준다.
李씨는 진도 앞바다의 경우 전체 지분의 40%를, 거문도(여수 삼산면) 발굴 사업에서는 35%를 받는 것으로 약정이 돼 있다.
두 사업 다 이형택 전 예금보험공사 전무의 직장 후배였던 허옥석씨가 10%씩의 지분을 받기로 했음도 확인됐다.
특검팀은 이용호씨가 개입한 거문도 등 나머지 지역의 보물 발굴 사업 승인 과정에도 석연찮은 점이 있다고 본다.
전남 여수해양수산청 등에 따르면 李씨는 보물 발굴 업자 신씨 등과 거문도 일대 보물 발굴 계약을 하고 지난해 4월 30일 여수해양수산청에 해저 매장물 발굴 승인 신청서를 냈으나 6월 4일 '매장물의 존재를 입증할 자료가 부족하다'며 반려되자 같은 달 9일 한국해양연구원의 용역 연구 보고서를 첨부, 재신청했다.
신씨는 여수해양수산청에 신청서를 다시 제출한 당일 청와대 비서실에 이와 관련한 진정서를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발굴 승인은 그 직후인 6월 13일 났다.
때문에 당시 관공서 허가 절차를 담당키로 약정했던 이용호씨가 로비를 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여수해양수산청 관계자는 "매장물 발굴 사업은 적절한 구비서류를 갖추면 승인을 받을 수 있는 사안이며, 당시 청와대 등 외부 기관에서 어떤 연락도 받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거문도 해상에서는 현재 매달 한두차례 잠수부들이 탐사 작업을 하고 있으나 별다른 성과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손민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