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릴레이] 인터넷폰 '타고난 한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55면

인터넷폰은 시내전화 요금 수준의 저렴한 가격으로 국제전화를 사용할 수 있는 매력적인 전화 통화 방식이다.

인터넷폰이 금방이라도 일반 전화를 압도할 것처럼 보였지만, 현재 인터넷폰은 생각만큼 그리 성공적이지는 못한 것 같다. 이유는 일반 전화 시스템과 인터넷이 지닌 네트워크 구조상의 근본적인 차이 때문이다.

우리가 사용하는 통상적인 전화 시스템에서는 전화를 거는 사람과 받는 사람을 전화국에 있는 교환기가 회로를 전환해 서로 연결해주고 있다. 이런 방식을 회로 교환(Circuit Switch) 방식이라고 하는데, 이 방식은 데이터 전송보다는 음성을 전달하는 데 유리하도록 최적화되어 있다.

반면 인터넷에서는 일반 전화와 달리 패킷 교환(Packet Switch)과 분산 네트워크(Distributed Network)라는 새로운 통신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 방식에서는 데이터가 한번에 상대방에게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를 메시지 블록과 같은 작은 규모의 단위로 나눈 다음, 각각의 패킷 앞에 상대방의 인터넷 주소를 기록해두어 다양한 경로를 통해서 데이터를 목적지로 전송하고 있다. 이런 패킷교환 방식은 음성보다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유리하다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패킷 교환방식과 분산 네트워크는 1964년 미 공군의 지원을 받은 랜드(RAND)연구소의 폴 배런이 처음으로 제안했던 생각이었다. 냉전이 심화되던 당시 미 공군은 여러 통신망 가운데 하나가 적의 공격으로 파괴되더라도 전체 시스템에서 안정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체제의 구축을 원했다.

이에 따라 패킷 교환이라는 새로운 통신 방식이 등장하게 된 것이다. 폴 배런이 제안한 패킷 교환 방식은 처음에는 통신 전문가들로부터 많은 저항을 받았으나 안정성을 인정받아 곧 인터넷의 기본 통신 네트워크로 자리잡았다.

일반 전화 방식은 음성이 끊어지지 않고 분명하게 전송되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회선을 독점하기 때문에 전화 요금이 매우 비싸다. 반면에 인터넷폰은 전화 요금이 훨씬 저렴하지만 데이터 전송에 최적화돼 있기 때문에 음성이 자주 끊어지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인터넷폰이 음성을 전달하는 데 치명적인 약점을 지니게 된 것은 인터넷이 탄생 초기에 '생존 가능성'을 고려해서 일반 전화와는 완전히 다른 방식을 채택했기 때문이다. 결국 국제전화 분야에서 인터넷폰이 일반 전화를 얼마나 잠식할 수 있느냐는 바로 이 태생적인 한계를 얼마나 잘 극복하느냐에 달려 있다.

임경순.정재승 교수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