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다사 임대아파트' 건립 논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대구시 달성군과 주택공사가 임대아파트 건립을 놓고 마찰을 빚고 있다.

달성군이 지역발전을 이유로 아파트 평형을 키워 분양으로 전환하라고 요구하는 반면 주공은 서민을 위해 불가능하다며 맞서고 있다.

문제의 아파트는 주택공사 대구 ·경북지사가 다사읍 매곡리 일대 1만여평에 지으려는 7백97세대.10년 임대인 15평 2백26세대,17평 78세대와 20년 임대인 10평 2백81세대,13평 2백12세대다.

주공은 용지매수 ·지장물철거 등을 거쳐 내년 10월 착공,2005년 3월 완공키로 하고 지난달 8일 대구시에 사업승인 신청을 냈다.

그러나 달성군은 최근 “소형 임대아파트가 들어서면 지역발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며 평형 상향조정과 분양아파트 건립을 요구하는 의견서를 대구시에 냈다.

▶지역 임대아파트 비율이 높고▶주변지역 생활환경불량▶저소득층의 집단거주로 각종 범죄발생 우려▶일반아파트 주민과의 괴리감 등도 반대 이유였다.

달성군 권양웅(53)건축과장은 “임대 비중이 높아지면 ‘건전한 전원도시’를 계획중인 군의 주택정책과 맞지 않는 데다 주민들의 반대도 심하다”고 말했다.

달성군의 임대아파트 비율은 아파트 2만5천2백여세대 중 17.6%인 4천4백여세대로 대구시의 평균 13%에 비해 높은 편이다.

달성군의 반대에 주공은 “서민들의 주거안정을 위해 분양아파트까지 임대로 전환하는 마당에 자치단체가 임대아파트 건립을 반대한다”며 발끈하고 있다.

주공 최영복(34)대리는 “달서구 장기동 7백5세대,동구 안심지구 1백94세대가 사업승인이 나 연말 또는 내년 착공예정”이라며 “정부정책에 따라 구·군 관계없이 부지만 있으면 임대를 짓고 분양도 임대로 전환하고 있어 군의 요구를 들어줄 수 없다”고 말했다.

주공은 대신 당초 20년 임대에 10평,13평형을 계획했던 달성군 가창면 용계리 3백2세대는 10년 임대에 15평,17평으로 설계를 바꿔 한달 늦은 이달 하순 사업승인을 신청할 예정이다.

주공은 그러나 곧 사업승인 신청예정인 달서구 장기2지구 임대아파트(3백세대) 등도 반대에 부닥치지 않을까 전전긍긍하고 있다.달성군과 주공은 그동안 3차례 협의를 가졌으나 이견으로 아직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이에 대해 대구시 박성희(49)주택담당은 “사업승인때 자치단체의 의견을 무시할 수 없어 군과 주공이 충분히 협의한 뒤 종합적으로 검토,사업승인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황선윤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