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 보고서 "수도권 집중 억제 전면 재검토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0면

한국개발연구원(KDI)은 공장설립 규제와 같은 수도권집중 억제 시책을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지방과의 균형발전을 꾀하기보다 수도권을 발전시켜 거기에서 나오는 과실을 지방으로 넘기는 쪽으로 정책방향을 고쳐야 한다는 것이다.

KDI는 또 30대 그룹 지정제도를 없애는 등 공정거래 제도를 시장경제에 맞게 대폭 고치고 경쟁정책을 강화할 것을 권고했다.

KDI는 12일 재정경제부의 용역을 받아 장기 정책과제를 제시하는 '비전 2011' 중간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비전 2011은 다음달 중 최종 보고서가 작성되며, 재경부는 이를 다른 부처와 협의해 정책에 반영할 방침이다.

KDI는 보고서에서 불공정거래로 손해를 본 경우 공정거래위원회의 판정 없이도 피해자가 집단소송을 통해 배상받을 수 있는 길을 열어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금은 공정거래위가 판정을 내려야 이를 근거로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할 수 있다.

또 정부 소유 금융기관의 민영화는 완전 민영화가 가능한 것과 부분 민영화만 가능한 것을 나눠 추진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공기업 민영화와 관련해 민영화에 앞서 요금규제 방식 등 정책방향을 먼저 제시하고, 통신.에너지 분야는 독립적인 규제기구를 설치할 것을 제안했다.

사회보장정책의 전면적 수정이 불가피하다는 의견도 냈다. 사회복지 재정을 안정시키기 위해 내는 보험료보다 보험금을 지나치게 많이 받는 구조를 개편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 최저임금보다 높은 기초생활보장제도의 지급 수준을 낮춰 더 많은 사람이 혜택을 보도록 고쳐야 한다고 주장했다.

KDI는 이밖에 노사정위원회의 성격을 합의기구에서 협의기구로 바꿔야 한다고 권고했다. 또 교육제도와 관련해 초중등학교를 자율적으로 운영하게 하고, 사립고를 중심으로 학생들이 학교를 선택할 수 있는 폭을 넓혀야 한다고 제안했다.

송상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