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간담회] '인적쇄신'등 입장정리 분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7일 민주당의 청와대 중진간담회에선 최고위원 12명 중 상당수가 인적쇄신을 건의할 태세여서 뜨거운 논란거리가 될 전망이다.

김근태 위원은 6일 오전 김원기(金元基)위원과 만나 발언내용을 조율했다. 김근태 위원은 "국정쇄신의 필요성을 건의하고 그 첫 단계로 인사쇄신이 단행돼야 한다고 말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치일정에 대해선 "그 얘기가 회의 주제가 돼선 안된다"고 말했다.

김원기 위원도 "민심이 나빠진 것은 그때그때 책임지는 사람이 없었기 때문"이라며 "대통령의 결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지난 5일 부산 강연회에서 "'내 탓이오'하는 사람이 나와야 한다"며 선(先) 인적쇄신을 강조했던 한화갑(韓和甲)위원은 "원칙은 타협의 대상이 될 수 없다"며 "부산에서도 주장했는데 거기서(청와대)말하긴 오히려 쉽다"고 했다.

김중권(金重權).정동영(鄭東泳).정대철(鄭大哲).김기재(金杞載)위원 등도 "전면적이고 획기적인 당정쇄신만이 등돌린 민심을 되돌릴 수 있다는 의견을 낼 것"이라고 본인 또는 주변에서 전했다.

반면 이인제(李仁濟)최고위원 등은 과도체제 구성 및 정치일정 투명화에 무게를 실을 것으로 전해졌다. 李위원 측근은 "비상체제가 당의 중심에서 현안을 조정하고, 정치일정 문제 등을 투명하게 정리해야 당이 정상화될 수 있다"고 말했다.

박상천(朴相千)최고위원은 ▶대통령이 임명직 최고위원(5명)을 지명하고, 그 중에서 대표를 임명하거나▶당무회의에서 차기주자들이 포함된 최고위원을 재선출하는 방안을 건의할 방침이다.

노무현(盧武鉉)위원은 이날 밤 성대 토론회에 참석, 인적쇄신에 대해 김근태 위원과 상반된 시각을 드러냈다. 盧위원은 "동교동계도 인권이 있다. 민주적 절차에 따라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金위원의 "대통령이 책임지고 물러날 수 없으니 동교동계라도 정치적으로 책임져야 한다"는 주장을 반박하면서다.

강민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