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일 답방' 설에 끓는 여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요즘 한나라당 이회창(李會昌)총재가 아침에 받는 정국 주요 동향 보고 중에는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서울 답방 문제가 들어 있다. 한 당직자는 8일 "특별히 잡힌 정보는 없지만 저쪽(여권)의 움직임이 무언가 긴박한 것 같다" 고 말했다.

이날 국회에서 윤경식(尹景湜)의원은 "우리 정부가 북한 상선의 영해 침범 때 강제력을 동원하지 않는 것은 金위원장의 서울 답방을 위한 선물 아니냐. 13일 김대중 대통령의 기자회견 때 金위원장의 답방 일정을 발표하려는 것 아닌가" 라고 물었다.

한나라당 당직자는 "尹의원의 질문은 우리당의 궁금증과 의혹을 종합.대변한 것" 이라면서 "金위원장의 답방은 정국의 충격적인 변수가 될 것이기 때문" 이라고 말했다. 이회창 총재의 7일 긴급 기자회견은 북한 선박의 영해 침범 사태를 비판하는 데 초점을 맞췄지만, 金위원장의 답방 문제를 우회적으로 겨냥한 측면이 있다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민주당 김중권(金重權)대표가 즉각적인 대응 회견을 한 것도 "김정일 답방 발표를 앞두고 李총재의 냉전 논리가 득세하는 것을 꺾기 위한 것" 이라는 관측이 여권 내부에서 나돌고 있다. 金대표 주변에서도 이에 대한 정보 수집에 열심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확정된 것이 없다. 여러 경로로 북측의 움직임을 주시하고 있다" 고 밝혔다. "북한 평양방송에서 보도한 '6.15 공동선언은 반드시 지킨다' 는 내용까지 金대통령에게 보고했다" 는 것이다.

국회 본회의에서 임동원(林東源)통일부 장관도 "구체적으로 일정이 협의된 것은 없다" 고 말했다. 그러면서 林장관은 "金위원장의 답방은 6.15 선언의 합의사항이며, 북한이 필요로 하는 대외 협력은 남북 관계 개선 없이는 확대되기 어렵다는 점에서 북한측이 합의를 파기하지는 않을 것" 이라고 강조했다.

이양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