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를 다지자] 한강상수원 제도 강화해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한강의 경우처럼 2천만 시민이 한 상수원에 의존하는 예는 세계에서 찾아 보기 어렵다.

한강이 오염되면 시민들이 엄청난 피해와 고통을 당하기 때문에 수량(水量)확보와 수질오염의 예방은 매우 중요하다.

정부는 1998년 한강수계 종합대책을 세워 하수처리장 등 환경기초시설을 확충하고 수변구역을 지정했다.

그 덕분에 지난해 팔당호 수질은 10년 만에 처음으로 개선될 조짐을 보였다.

하지만 기업이나 개인의 무분별한 오염행위가 줄지 않는 한 수질개선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합동단속.특별단속을 매일같이 하더라도 식수원을 스스로 지키겠다는 의식 전환이 없으면 실효를 거두기 힘들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도 더 노력해 상수원 인근에 오염원이 들어서지 못하게 수변구역 제도나 사전환경성 검토 제도를 본궤도에 올려야 한다.

또 강변 주요지역을 '환경친화적인 공원' 으로 조성해 시민들이 경관을 즐기되 오염행위를 하지 않게 해야 한다.

강찬수 전문기자

◇ 독자 여러분의 의견을 기다립니다.

▶중앙일보 여론매체부 : e-메일.전화(02-751-5039) .팩스(02-751-5404)

▶조인스닷컴(http://www.joins.com/cgi-bin/sl.cgi?seriescode=717&kind=sl):프런트 페이지 '기초를 다지자/토론마당 가기'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