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공항 주변 소음 심하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대구시 동구 지저동 대구공항 주변지역의 소음공해가 기준치를 넘어섰으나 관련법 미비 등으로 대책이 겉돌고 있다.

이는 환경부가 지난해 공항주변 6곳의 자동측정망을 통해 측정한 소음정도 분석 결과 밝혀졌다. 자동측정망은 지저.복현2.서변.용계.신평.방촌동 등 6곳의 주택.건물옥상 등에 설치돼 있다.

측정결과 방촌동을 제외한 전 지역에서 소음진동규제법상의 기준치 80웨클(wecpnl)을 초과했다. 80~89웨클은 '시끄럽다' 고 느끼고 주거용 건물의 경우 방음시설 설치가 필요한 정도의 소음이다.

신평동은 지난해 1월 평균 소음이 82.7웨클로 나타나는 등 1~12월 모두 기준을 초과했다. 신평동은 '주거생활이 곤란' 한 정도인 90웨클 이상을 기록한 달도 9~12월 4차례나 됐다.

복현2동은 지난해 7, 9월만 '약간 시끄럽고 학교.병의원의 경우 방음시설이 필요' 한 정도인 79.8과 79.5웨클을 기록했을 뿐 나머지 달은 모두 기준을 초과했다.

이밖에 용계동은 월 평균 8차례, 지저동은 7차례, 서변동은 2차례 각각 기준을 초과했다. 방촌동만 월 평균 70.1~77.0웨클로 기준치 이하를 나타냈다.

대구공항 주변의 이들 소음 피해지역에는 현재 2만3천여가구 8만여명이 거주하고 있다.

소음이 심하자 지난해부터 주민들이 대책위를 구성, 국회청원 등을 통해 피해보상과 이주.이중창 설치 등의 대책마련을 요구하고 있으나 관련법 미비 등으로 해결될 기미는 보이지 않고 있다.

대구공항 소음의 경우 건설교통부 평가결과 군용기의 영향이 더 큰 것으로 평가돼 국방부가 주도적으로 방음대책을 세워야 하지만 국방부는 예산이 없다는 이유로 손을 놓고 있는 실정이다.

국방부 관계자는 "항로변경.고도조정.방음정비고 설치 등 자체적인 소음줄이기 방안을 시행 중이지만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고 말했다.

황선윤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