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보잉사장·3군총장 면담 경위조사 지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조성태(趙成台)국방부장관이 공군 차기전투기(F-X)사업의 경쟁과열 조짐과 관련, 최근에 있은 미국 보잉사 사장과 육.해.공군 참모총장의 면담경위를 조사할 것을 군 수사기관에 지시한 것으로 21일 확인됐다.

국방부 고위 관계자는 "보잉사의 제리 다니얼 사장이 지난달 30일 각군 총장을 연쇄적으로 면담했다는 사실을 뒤늦게 전해들은 趙장관이 '관련없는 총장들이 무기업체 인사를 왜 만나느냐' 며 의아한 반응을 보였다" 면서 이같은 조사지시 내용을 전했다.

趙장관의 조사 지시는 콜린 파월 미 국무부장관과 미조리주 본드 상원의원을 통한 보잉사의 F-15K 구매 압력설이 나도는 가운데 나와 처리결과가 주목된다.

이 관계자는 "趙장관이 지난달 30일의 면담을 주선한 인물은 누구인지를 비롯, 면담이 이뤄진 경위와 내용을 엄중 조사하라고 지시했다" 고 말했다.

그는 "F-X사업의 결정권자가 아닌 육.해.공군 총장을 비롯, 무기 구매와 직접 관련없는 군간부들과 무기업체 인사들과의 접촉을 일절 금지하라는 지시도 이달 초 있었다" 고 덧붙였다.

F-X 사업에는 미국 보잉사의 F-15K를 비롯, 러시아의 Su-35, 프랑스의 라팔, 영국 등 4개국 컨소시엄의 유러파이터 등 4개 기종이 경합을 벌이고 있다.

국방부는 1999년 업무상 관련이 없을 경우 무기업체 인사를 만날 수 없도록 내부규정을 만들었다. 특히 F-X사업과 관련, 사업결정권자는 국방부의 획득실 및 조달본부 협상팀, 공군의 성능평가팀 등으로 제한돼 있어 참모총장은 일절 기종선정 업무에 관련이 없고 국방부의 구매결정에 따르게 돼있다.

김민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