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J 연두회견 문답] 강한정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 DJP 공조 복원과 '강력한 정부론'

- 지난번 김종필 자민련 명예총재와 만나 임기 말까지 공조키로 했는데 차기 대선까지 공조가 이어지는가.

연말에 언급한 '강력한 정부' 의 의미는. "자민련과 공조를 복원하면서 다음 대선 문제에 대해선 논의한 바 없다. 지금은 총력을 다해 경제를 회복시키고, 정치와 사회를 안정시킬 때다.

강력한 정부란 옛날 군사정부처럼 물리적 힘을 휘두르는 정부가 아니다. 정반대로 민주적 절차를 준수하면서 대화와 양보로 풀어나가는 정치가 강력한 정치다. 민주 원칙과 법 질서가 보장돼야 한다. 정부는 민주적이고 강력한 정부로 원칙과 법을 준수하는 국민 여론을 최고로 두려워하는 의미로서의 강력한 정부를 구성해 나가겠다. "

◇ 여야 극한 대립과 의원 이적(移籍)

- 경색정국을 풀기 위해 한나라당 이회창(李會昌)총재를 다시 만날 용의는 없나.

"야당과 협력관계를 유지하겠다는 생각은 과거와 지금, 앞으로도 변함없다. 대통령을 편하게 성공적으로 하려면 야당의 협력을 받아야 한다.

내 부덕(不德)의 소치겠지만 불행히도 지난 3년간 야당 협력을 못받은 것은 물론 심한 괴로움을 당했다. 총리(정권 출범 때 JP의 경우)를 6개월 동안 인준해주지 않고, 실업대책이 포함된 예산을 몇개월째 통과시키지 않고, 툭하면 국회를 버리고 밖으로 나가는 등 여러가지 어려움이 있었다.

야당과의 관계를 회복하고, 잘 지내고 싶다. 그러나 원칙이 있어야 한다. 민주주의적.법치주의적 원칙이 있어야 한다.

상대방 입장을 존중하는 상생(相生)의 원칙이 있어야 한다. 나는 대통령이 되기 전 야당 때 이런 원칙을 지켰다.

심지어 우리 마음대로 할 수 있는 여소야대(6공 초기)때도 안건의 97%를 사전 협의를 거쳐 만장일치로 처리했었다.

정치안정.민생.남북문제는 언제나 여당과 협력해 적극 도왔다. 앞으로 야당과의 관계에 있어 범국민적 차원에서 협력할 것은 협력하고 정책은 경쟁을 통해 국민의 지지를 받고, 대통령은 선거를 공정히 관리하는 상황이 실현되길 바란다."

- 민주당 의원들의 자민련 이적에 대한 비판 여론이 많다.

"국민의 비판은 겸허히 듣겠지만 야당의 비판은 온당치 않다. 야당은 총선 민의(民意)에 어긋난다고 주장하는데 총선 민의는 여당과 야당에 모두 과반수를 주지 않고 자민련에 17석을 준 것이다. 캐스팅 보트를 가진 자민련이 국회 운영에서 발언권을 갖는 것은 당연하다.

세계 많은 나라가 소수 권리보장이라는 의미로 10석 정도면 교섭단체를 주고 있다. 우리당과 자민련이 교섭단체 정족수를 낮추는 법안을 냈는데 야당이 표결을 저지하고 폭력으로 막아 몇달째 통과되지 않고 있다.

또 야당은 과거 여당 때 그런 일이 없었나. 우리는 공조로 의원을 주고받았지만 과거 여당은 야당을 파괴하면서 데려갔다. 15대 총선 때 신한국당은 과반수에 11석 모자랐다.

자민련에서 6석, 통합 민주당에서 3석, 무소속에서 13석, 모두 22석을 빼내가 반수에서 11명이 넘었다. 또 자민련 소속 도지사 2명과 무소속 도지사.시장 1명씩 모두 4명을 데려갔다.

자신들이 야당을 파괴하면서 데려가는 것은 괜찮고, 공조 여당끼리 교섭단체를 만들어 주는 것은 국정 파괴라는 주장에 국민이 납득하지 않을 것이다. (의원 이적은)바라서 한 일이 아니고, 불가피하게 한 것이다. 야당이 장외집회까지 하면서 규탄하는 게 이해가 안된다."

◇ 정계개편론과 개각

- 개각 구상은.

"궁금하겠지만 기다려달라. 지금은 경제문제를 숨가쁜 심정으로 되살리려 하고 있다. "

- 정계개편.개헌설에 대한 입장은.

"그런 말 들을 때마다 마치 자기 그림자를 보고 놀란 사람 같다는 생각이 든다. 들어본 일도, 주위에서 논의한 일도 없다. 우리와는 관계가 없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