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금보험공사채권 발행 "소화 무난할 듯"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5면

공적자금 추가 조성을 위한 예금보험공사채권(예보채) 발행이 임박하면서 채권시장과 금리에 미칠 영향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예보채가 발행되면 그만큼 채권시장에 공급이 늘어 채권금리가 오르고 회사채 등 다른 채권의 발행은 어려워지는 '구축(驅逐.crowding-out)효과' 를 초래할 수 있다.

하지만 12월 중 직접 시장에 판매할 예보채는 3조원 정도에 그쳐 그 효과는 거의 없을 전망이다.

재정경제부 관계자는 28일 "새로 조성될 40조원의 공적자금 중 연내 투입액은 10조원 정도가 될 것" 이라며 "이를 마련하기 위한 10조원의 예보채 물량 중 약 7조원은 부실은행에 증자자금으로 직접 줘 장부상 자산으로 삼기 때문에 시장에서 실제 판매되는 물량은 3조원 정도" 라고 말했다.

게다가 원화가치가 안정을 되찾으면서 채권금리는 최근 다시 떨어져 지난 23일 7.32%까지 반등했던 국고채 3년물 수익률은 28일 7.18%로 하락했다.

동양증권 김병철 채권운용팀장은 "1998년 1차 공적자금 조성 때도 막상 예보채를 발행하기 시작한 뒤에는 금리가 떨어졌다" 며 "이미 예보채 추가 발행에 대한 부담은 시장에 반영된 것으로 본다" 고 밝혔다.

그는 "현재 채권시장에서 국공채 등 우량채권은 수요초과 상태" 라며 "3조원 정도의 예보채는 쉽게 소화될 것" 으로 내다봤다.

한화증권 임찬익 채권팀장도 "예보채는 정부가 보증하기 때문에 국제결제은행(BIS)기준 자기자본 비율상 무위험 자산으로 분류되면서도 금리는 국고채보다 0.3~0.5%포인트 높다" 며 "은행과 보험권을 중심으로 눈독을 들이는 기관이 많다" 고 전했다.

林팀장은 "앞으로 국고채 금리는 더 떨어져 연내 7.0%벽 돌파를 다시 시도할 것으로 본다" 고 낙관했다.

그러나 아무래도 예보채 물량은 시장에 부담을 줘 채권금리가 당분간 더 떨어지기는 힘들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다.

대우증권 마득락 채권영업팀장은 "예보채 발행은 어차피 내년 상반기로 이어질 예정" 이라며 "아무래도 시장에는 물량부담을 주어 국고채 금리가 7.0% 밑으로 떨어지기는 힘들 것" 이라고 전망했다.

채권시장 전문가들은 "정부가 내년 국고채 발행물량을 어느 정도로 정하느냐도 향후 금리 움직임에 큰 변수" 라며 "실업대책과 경기진작을 위해 재정적자폭을 다시 늘리면 국고채 금리는 상승 커브를 그리게 될 것" 이라고 내다봤다.

김광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