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운영씨 지원說 '국사모'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국가를 사랑하는 모임'(국사모)은 지난해 3월 국정원 직제개편 한달 뒤 직권면직된 2,3급 고위간부 출신 21명이 구성했다.

이종찬(李鐘贊)국정원장 취임 후 단행된 구조조정 때 보직해임됐다가 1년 뒤 국정원을 떠났다.

회장은 국정원 의정부 출장소장 출신인 서일성씨며, 회원 중에는 대전 부지부장, 102실(대공분야)방송처장 출신 등도 있다고 민주당 대변인실 관계자는 설명했다. 회원들의 성금을 모아 서울 서초동 모 빌딩에 사무실을 얻어 활동하고 있다고 한다.

이들은 정부를 상대로 직권면직 취소소송과 국정원 직원법 비밀엄수 조항(17조)의 위헌제소 활동을 벌여왔다. 한나라당의 인권위원인 엄호성 의원과 손범규(孫範奎)변호사가 국사모의소송대리인이다.

이들은 지난해 4월엔 徐회장이 김영삼(金永三)전 대통령의 면담을 요청했다가 거절당하기도 했다.

그러나 4·13총선을 전후해 일부 회원의 총선 출마검토 등 정치적 행보를 하기 시작했다고 여권에선 분석한다.

한빛은행 불법대출사건과 관련해선 신용보증기금 영동지점장이었던 이운영씨의 기자회견을 배후에서 도왔다는 소문이 나돌았다.

국사모 총무대리인 송영인(전 제주 부지부장)씨는 이운영씨와 같은 동국대 출신. 그는 국사모가 '검찰이 李씨의 동국대 동문들에게 李씨를 찾아내라고 강압하고 있다'는 탄원서를 한나라당에 제출할 때 기자회견에 참석한 것으로 전해졌다.

여권은 그동안 국사모의 강경파 일부가 국정원 근무과정에서 얻은 정보력을 토대로 현정부에 불리한 정보나 왜곡된 소문을 야당에 제공하거나 시중에 퍼뜨려왔다고 의심해왔다.

그래서 엄호성 의원의 발언파문을 계기로 검찰의 전면 수사와 국사모 해체에 나서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이정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