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병앓는 콘크리트] 중성화 부식 대책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1990년대 중반 성수대교.삼풍백화점 붕괴 이후 대형 시설에 대한 안전진단이 이뤄졌지만 대부분 콘크리트의 강도(耐荷力)만 조사했을 뿐 내구성(耐久性)과 관련된 콘크리트 품질은 거의 따져보지 않았다.

서울시의 경우 1백81개 구조물을 안전점검하면서 강도조사는 대부분 했으나(92%) 콘크리트 품질.철근 부식조사는 각각 9%.7%에 그쳤다.

일본.영국 등은 국도.교량의 경우 5년마다 주기적으로 중성화 조사를 하고 있다.

조사 결과 중성화가 진행됐을 경우 그 속도를 늦추거나 녹이 슨 철근을 보완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최초 설계에서부터 중성화를 염두에 둔 설계를 하는 것이 비용과 노력을 최소화는 방법이다.

국내에서는 중성화가 심각한 구조물은 표면을 도장하거나 모르타르로 균열을 메우는 방식으로 보수를 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이산화탄소와 콘크리트가 닿지 않게 해 중성화 속도를 늦추는 효과는 있지만 철근이 부식한 곳에 대한 처방은 아니다.

한국재난연구원의 윤영조(尹泳朝) 박사는 "중성화가 깊이 진행된 구조물에서 중성화를 제거하기 위해선 콘크리트 덮개를 완전히 들어내고 다시 콘크리트를 치는 방법이 거의 유일한 대책" 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 방법은 콘크리트 덮개가 3㎝인 경우를 기준으로 할 때 ㎡당 45만원 가량이 드는 부담이 있다. 전기적 방식도 1㎡에 30만원이 든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내구성 설계' 의 도입을 주장하고 있다. 연세대 변근주(邊根周)교수는 "외국과 같이 콘크리트 설계 기준강도를 4백㎏/㎠이상으로 상향 조정해 콘크리트 조직을 촘촘하게 해 이산화탄소 침투를 막아야 한다" 고 제안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