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J 개각 시기 저울질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개각문제가 청와대와 민주당 등 여권 일각의 주요 관심사로 자리잡았다.

이한동(李漢東)총리 임명의 국회동의 절차가 마무리됐기 때문이다.

개각은 예고된 사안이기도 하다. 경제부처간 불협화음, 일부 장관들의 개혁의지 부족 논란이 오래 전부터 개각 요인으로 제기돼왔다.

그러나 남북 정상회담, 李총리 인사청문회로 미뤄져왔다. 여기에다 경제.교육부총리 승격을 담은 정부조직법 개정문제가 겹쳤다.

정부조직법 개정안은 7월 임시국회에서 처리된다. 따라서 개각일정은 자연스럽게 7월 말로 넘어갈 수밖에 없다.

그렇지만 김대중(金大中)대통령은 개각의 기본적 구상을 마친 것으로 청와대 참모들은 관측하고 있다. 그 구상은 집권 후반기 국정운영 방향과 맞물려 있다.

집권 전반기가 새로운 개혁과제를 설정해 틀을 짜나가는 시기였다면 이제 '정리하고 결실을 거두는 데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는 게 청와대측의 인식이다.

개각 대상으로 ▶일부 경제부처▶집단이기주의의 대처능력이 부족한 부처가 여권 내부에서 꼽히고 있다.

그러나 金대통령은 '신(新)남북화해' 시대를 이끌 수 있도록 내각의 역량 강화에 비중을 두는 큰 그림 속에 개각문제에 접근하고 있다는 게 여권의 대체적인 관측이다.

그런 이미지에 충실할 수 있는 장관들로 내각을 전면 재편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청와대 관계자는 "오는 7월 말로 집권 중반기를 넘어서게 돼 제2의 조각(組閣)수준의 개편이 필요하다" 고 강조했다.

金대통령이 강조해온 실사구시(實事求是)형 국정운영에 맞는 인물이 발탁될 것이라는 얘기도 나온다.

金대통령이 그같은 인선 윤곽을 어느정도 잡아놓고, 시기만 저울질하고 있다는 관측도 있다. 시기는 7월말 또는 9월초 정기국회 직전 중 하나를 선택할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개각문제에 대해 청와대는 입조심을 하고 있다. 개각이 예고되면 관료사회가 헝클어질 수 있는 탓이다.

이 관계자는 "지난 1.13 개각은 그 이전 연말 DJP회동에서 예고되는 바람에 관료사회를 마비시켜 다시는 그런 식의 개각은 말아야겠다는 생각" 이라고 지적했다.

때문에 金대통령은 지난 5월말에 '개각을 얘기할 시기가 아니다' 고 말한 뒤 개각문제에 대해 공개적인 언급을 하지 않고 있다.

김진국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