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국 정부 대변인 “대포동 2호 부품은 없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태국에 억류된 북한발 무기 수송기에서 대포동 2호 부품을 찾을 수 없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1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파니탄 와타나야곤 태국 정부 대변인은 블룸버그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수송기에 조립하지 않은 대포동 2호의 부품이 실린 증거는 없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수송기 내에서는 사거리가 60㎞ 정도인 다연발 로켓 장치와 비행통제시스템으로 보이는 장치들이 발견됐다”고 밝혔다. 로이터통신은 16일 익명의 태국 관리 말을 인용해 “수송기에 조립하지 않은 대포동 2호 부품이 실려 있고 목적지는 이란으로 보인다”고 보도한 바 있다.

◆폐기냐 사용이냐=수송기에 실린 무기와 그 목적지에 대한 논란이 커지는 가운데 압류 무기의 처리 방향을 둘러싼 태국 정부의 입장도 엇갈리고 있다.

논란은 아피싯 웨차치와 태국 총리의 발언에서 시작됐다. 아피싯 총리는 16일 “압류한 무기 중 일부는 폐기할 필요가 없는 것들”이라며 “유엔 협약을 검토하는 등 관련 절차를 밟은 뒤 일부를 태국 군대에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런 뒤 카싯 피롬야 태국 외무장관은 다른 이야기를 했다. 카싯 장관은 17일 “유엔 협약에 따라 그루지야 국적의 화물기에서 발견한 모든 무기는 폐기할 의무가 있다”며 "압류한 무기를 쌓아 놓을 수도 사용할 수도 없으며, 폐기 절차를 밟는 것이 우리의 책임”이라고 강조했다. 수텝 타웅수반 안보담당 부총리도 “태국군이 압류한 무기를 사용할 수 있다고 발표한 것은 너무 앞서간 것”이라며 “압류 무기의 처리에 대한 결정을 내릴 때까지 2주 정도가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일부 국가의 불만에도 태국은 모든 조사를 투명하게 진행할 것”이라며 “관련 성명과 발표는 신중한 검토를 거쳐 나오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태국은 현재 압수한 무기를 전량 폐기할지에 대한 유엔의 권고를 기다리고 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북한이 두 번째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 실험을 강행하자 지난 6월 북한의 무기 수출을 전면 금지하는 내용의 대북 제재 결의 1874호를 채택했다. 한편 러시아 일간 코메르산트는 17일 이 수송기가 당초 알려진 대로 급유를 위해 태국에 내렸다가 억류당한 것이 아니라 외국 정보기관에서 정보를 입수한 뒤 미리 대기하던 태국 전투기 2대에 의해 강제 착륙당했다고 보도했다.

◆“무기 적발에 미국 협력 받아”=타윌 플린스키 태국 국가보안회의 사무총장은 17일 태국 방콕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북한을 출발해 방콕 돈므앙 공항에 착륙한 화물기에서 무기를 적발해 압류하는 데 미국의 협력을 받았다”며 언론 보도를 확인했다고 AP가 보도했다. 타윌 사무총장은 그러나 태국이 무기를 압류한 대가로 보상금이나 사례금을 받을 것이라는 주장은 사실이 아니라고 밝혔다.

그는 또 “무기 압류와 관련, 외국의 압력을 받았다는 것도 억측”이라며 “수송기 압류는 국제사회의 일원으로 취한 행동”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돈므앙 공항에서 압류한 무기를 조사 장소인 나크혼 사와주의 공군기지로 운반하는 데 소요된 비용 등을 유엔에서 지원해 주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하현옥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