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분수대

아바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9면

세계 모든 신화에서 신들은 인류 역사에 개입한다. 그리스·로마 신화의 신들은 때로 인간의 형상으로 변신하거나 인간 여인들과 관계를 갖고 수많은 반신(半神)과 영웅들을 낳은 것으로 전해진다.

이에 비해 힌두 신들은 아예 독자적인 성격을 가진 인간이나 동물로 다시 태어난다. 이를 가리키는 산스크리트어가 아바타(avatar), 혹은 아바타라(avatara)다. 특히 3대 주신 중 하나인 비슈누의 아바타들은 인류를 위해 정의와 평화를 수호해왔다. 영웅 라마도, 무적의 전사 크리슈나도 비슈누의 아바타다.

몸은 인간이되 권능은 신 그대로이므로 평범한 인간은 감히 상대가 될 수 없다. 힌두 최고의 전쟁 서사시인 ‘마하바라타’에서도 크리슈나의 동료나 적수들은 대부분 다른 주요 신의 아바타다. 물론 그중에서도 최고신인 비슈누의 아바타를 이길 존재는 없다.

이런 어원을 가진 아바타는 오늘날 사이버 공간에서 수많은 네티즌의 분신으로 다시 태어났다. 싸이월드 같은 소셜(social) 네트워크 사이트에서 리니지 등의 게임 속 세계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아바타가 인간 주인과는 별개의 모습과 인격으로 존재한다.

‘타이타닉’의 거장 제임스 캐머런이 11년 만에 내놓은 신작 ‘아바타’도 결국 제2의 자아에 대한 이야기다. 컴퓨터 그래픽과 실사 화면이 6대4 정도로 배합된 ‘아바타’는 새로운 형식과 시각적인 완성도로 찬탄을 자아내는 동시에 현실을 빗댄 우화로서도 풍부한 함의를 갖고 있다.

주인공 제이크(샘 워딩턴)는 두 다리를 못 쓰는 장애인이지만 원주민 아바타에 접속해선 용감한 전사로 변신해 비룡을 타고 모험을 펼친다. 그에게 이런 이중의 삶은 롤 플레잉 게임에 푹 빠진 오타쿠의 상황과 흡사하다. 인간으로 있을 때에도 목욕이며 식사를 내팽개친다든가, 현실과 게임 속을 혼동하기 시작하는 모습은 게임 중독에 대한 직설적인 풍자이기도 하다.

영화 ‘아바타’의 주인공 제이크가 지구인이면서 아바타의 정체성을 선택해 인간과 싸운다는 설정은 자아와 제2의 자아가 반드시 순행하지는 않는다는 현실과 묘하게 맞물리는 느낌을 준다. 애당초 신화에서도 모든 아바타가 인간에게 우호적인 것은 아니었다. 비슈누의 아바타는 10개라고도 하고 22개라고도 한다. 공통적으로 마지막 아바타인 칼키(Khalki)는 약 43만 년 뒤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에 종말을 선고할 존재다.

송원섭 JES 콘텐트본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