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개발 경기 광주로 급속 확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경기도 용인에서 행해지고 있는 '묻지마 개발' 이 인근 광주군으로 급속히 옮아가고 있다.

개발방식도 용인과 똑같다. 일정규모 이하로 나눠 허가를 받아 교통.환경평가 등 심의를 피하고 있으며 학교.도로 등 기반시설은 안중에도 없다.

경기개발연구원 이해종(李海鍾)박사 등 전문가들은 "광주군이 도시기본 계획을 수립할 때까지 아파트 건축허가를 금지하는 특단의 조치를 내려야 한다" 고 촉구했다.

◇ 용인식 마구잡이 개발 실태〓광주군 오포면 신현리 속칭 '태재고개' 에서 능골삼거리까지 약 4㎞구간. 분당신도시와 경계를 이루고 있는 이곳 왕복 2차로 좁은 도로 주변엔 아파트 분양 등을 알리는 현수막이 어지럽게 나붙어 있다.

12만5천㎡에 6백18가구를 짓고 있는 신현리 현대 모닝사이드 1차아파트 공사현장. 도로 주변 4만여평의 야산을 허물고 기초공사가 한창이다. 그러나 실제 건축허가는 3백가구(7만3천㎡).3백18가구(5만2천㎡)로 쪼개받았다.

교통영향평가(연면적 9만5천㎡)와 환경영향평가(30만㎡이상)를 피해가기 위해서다. 이 업체는 5백m 남짓 떨어진 곳에서도 3백50가구 2차아파트 공사를 진행 중이다.

현재 태재고개~능골삼거리 구간에 짓고 있는 아파트는 4곳에서 1천7백가구 규모. 현재 30여곳 1만2천여가구의 건축허가가 신청 중이어서 곧 용인 수지읍과 구성면을 능가하는 마구잡이 개발이 예견된다.

이곳에 학교라곤 광명초등학교 한곳뿐이며 학교 신축계획은 아예 없다. 분당 신도시의 기반시설에 기생하려는 건설업체들의 속셈 때문이다.

국도 3호선과 43호선이 만나는 지점인 광주읍 태전.장지리 일대 도로 주변도 거대한 아파트 숲으로 변하고 있다. 이곳엔 성원건설 등에서 2천가구가 곧 입주할 예정이고 인근에 5천가구 규모의 아파트가 들어설 예정이다.

국도 3호선 주변 초월면도 6곳에서 2천7백가구가 공사 중이다. 특히 쌍령리 일대 국도 주변 '산중냉장' 맞은편엔 고려산업개발과 동성건설에서 수려한 야산을 허물고 1천여가구를 짓고 있으며 1천가구에 대한 건축허가를 지난달 또 받아냈다.

이 업체들도 건축허가는 3백~5백가구 미만으로 나눠 받았다.

◇ 얼마나 짓나〓광주군은 1998년 15곳 6천84가구, 99년엔 13곳 4천8백37가구의 아파트 건축허가를 내준 데 이어 올들어 5월 현재 11곳 4천2백70가구에 대해 허가를 내줬다.

1년5개월 사이 24곳 1만가구에 달하는 허가를 내준 셈이다. 여기에다 5월 현재 40여곳 1만8천여가구의 허가 신청이 밀려 있는 상태고 27곳에서 1만여가구의 아파트가 공사 중이다.

◇ 원인.문제점〓광주군에 아파트 허가 신청이 갑자기 몰리는 것은 최근 용인 난개발이 사회문제화하면서 용인지역 분양열기가 식고 연말께까지 신규허가를 동결했기 때문.

교통대책도 전혀 없다. 광주 오포면 일대는 분당을 거쳐 서울로 가라는 것이고 국도 3호선 주변은 기존 도로를 이용하라는 식이다.

광주군을 비롯해 용인지역 아파트 입주가 끝날 경우 서울로 가는 길은 마비상태에 빠질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정재헌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