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1백만명 고엽제 후유증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9면

베트남 전쟁 중 살포된 고엽제로 인해 베트남인 1백만명이 후유증에 시달린다고 워싱턴 포스트가 19일 보도했다.

그러나 베트남 정부는 예산 부족으로 적절한 치료는커녕 오염지역에 대한 제독작업도 제대로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고엽제 피해는 전쟁 당시 이를 직접 살포한 군인과 현지 주민에게만 그치지 않는다. 종전 후 25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기형아 출생률이 높을 정도다.

최근의 한 연구에 따르면 고엽제 살포지역인 남부(비엔 호아)의 어린이 세포에서 검출된 다이옥신(발암성 물질)이 고엽제가 살포되지 않은 베트남 북부(하노이) 어린이들의 경우보다 50배 가량 높았다.

그러나 미 정부는 이같은 현상의 직접 원인이 고엽제 살포 때문이란 것을 입증할 만한 연구결과가 나오지 않았다며 배상책임이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미 정부는 베트남 참전 군인으로 후유증을 앓고 있는 미국인에게는 매달 5천달러(약 5백50만원)씩을 지불하고 있다.

베트남 정부의 미온적인 대응도 문제로 지적됐다. 후유증을 앓는 군인들에게 매월 7달러 가량의 치료비를 보조할 뿐 관광객 유치에 지장을 줄까봐 피해사례 연구나 대책 마련에도 소극적이다.

뿐만 아니라 오염지역의 토양이나 강물 등에선 다이옥신 등 독극물이 여전히 검출되지만 주민들이 농사를 짓도록 방치하고 있다.

신문은 미국이나 베트남 정부가 고엽제의 영향에 대한 추가 연구에 막대한 자금을 투입하기보다 피해자들을 하루 빨리 구제해야 한다는 게 베트남 국민들의 일반적인 견해라고 덧붙였다.

예영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