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한자 교체 논란…77자는 조정될듯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2면

중.고교 교과서에 활용되는 교육용 기초 한자(1천8백자)교체를 놓고 학계의 논의가 분분하다.

지난해 문화관광부가 교육부에 제시한 기초 한자 교체안과 교육부가 한국한문교육학회에 의뢰해 내놓은 안이 크게 다르기 때문이다.

기초한자 수를 1천8백자로 유지한다고 할 때, 문화관광부와 교육부가 공통적으로 제외하자는 글자 수는 33자다.

새로 추가하자는 글자 수는 44자.

이들 글자는 조정을 거쳐 제외되거나 추가될 가능성이 크다.

빼자고 하는 글자는 ▶쉴 게(憩)▶숫자인 일(壹).이(貳)▶다스릴 목(沐)▶슬플 희(噫)등 사용 빈도가 적은 것들도 있으나 ▶이화여대의 배 리(梨)▶달러를 한자말로 표현할 때 사용되는 말 불(弗)▶박정희 전대통령의 이름자에도 있는 빛날 희(熙) 등 익숙한 글자들도 포함돼 있다.

문광부와 교육부 연구안이 공통적으로 추가하자는 글자엔 쓰기 복잡한 글자들이 많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도둑질한다는 뜻으로 절도에 쓰이는 절(竊)▶돌이킬 복(覆)▶얽을 계(繫)등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누가 정해도 기초 한자는 논란의 소지가 있을 수밖에 없다" 고 말했다.

교육부는 오는 3월 공청회를 열어 각계의 의견을 수렴한 뒤 8월에 확정, 발표할 예정이다.

조정된 기초 한자는 내년 1학기 교과과정부터 적용된다.

강홍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