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구조조정본부 조직 축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4면

5대 그룹의 구조조정본부가 본격적인 해체 수순을 밟고 있다.

대기업 구조조정이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며 역할이 줄어든데다 구조조정본부가 정부가 비판적으로 보고 있는 '선단식 경영' 의 상징으로 비춰지고 있기 때문이다.

현대그룹의 경우 지난해 말 그룹 구조조정업무가 실질적으로 완료된 것으로 판단, 구조조정위원회의 위상을 크게 낮춰 마무리 작업만을 수행토록 했다.

현대는 지난해 말 구조조정위원회 위원장이던 박세용(朴世勇)회장을 계열사로 전배한 뒤 노정익(盧政翼)부사장에게 위원장 대행을 맡겼다.

현대 관계자는 "구조조정위원회의 조직은 물론 인원도 30여명에 불과할 정도로 이미 축소됐다" 며 "이르면 자동차 소그룹이 분리되는 상반기 중에 없어질 가능성도 있다" 고 말했다.

SK도 구조조정본부장을 맡고 있던 유승렬(劉承烈)부사장을 최근 인수한 신세기통신으로 겸임 발령내 이 회사의 경영에 역점을 두도록 했다.

그만큼 구조조정본부의 업무 비중을 축소한 것. LG도 지난해 말 구조조정본부 인력을 상당수 계열사로 발령내고 충원하지 않으면서 50여명으로 줄였다.

대우는 구조조정본부 정주호 사장이 지난 연말 자동차로 옮기는 것을 끝으로 사실상 해체된 상태로 사후대책반 20여명만 운영되고 있다.

삼성그룹도 "구조조정본부가 더 이상 필요치 않다고 판단되면 언제든지 해체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 고 밝혔다.

김시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