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워봅시다] 리눅스4=통신프로그램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54면

리눅스에서도 PC통신이나 인터넷을 통해 홈뱅킹.전자상거래.뉴스검색.홈트레이딩(주식거래)등을 손쉽게 서비스받을 수 있다.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일반전화와 연결되는 모뎀이나 전용회선과 접속되는 근거리통신망 (LAN)카드가 필요하다. 가정에서는 주로 모뎀을 사용하지만 최근 전용회선(초고속통신망.케이블TV망 등)을 사용하는 이들도 점차 늘고 있다. PC에 기본으로 장착돼 있는 모뎀의 경우 윈도에서는 이용자가 따로 손댈 필요 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돼 있는 게 일반적이다. 그러나 리눅스에서는 모뎀 설정 작업을 직접 해야 한다.

우선 PC를 켜고 운영체제(OS)를 리눅스로 선택해 부팅한 뒤 '젯어드민(Zadmin)' 메뉴로 들어가 '모뎀 설정' 을 클릭한다. 이곳에서 모뎀이 어느 위치(포트)에 있는지 입력하면 된다.

그러나 윈도 전용 모뎀인 '윈모뎀' 등 일부 제품은 리눅스에서 설치가 안 된다.

리눅스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뎀인지 아닌지는 미지리눅스 홈페이지(linux.mizi.co.kr/about/hardwares.htm)에서 확인하면 된다. 모뎀은 보통 3만~4만원대에 살 수 있다.

3만~8만원대에 팔리는 회로기판 형태의 LAN카드는 PC를 끄고 본체를 연 뒤 제품 설명서에 써 있는 대로 꽂으면 된다.

이어 PC를 켜면 새로운 하드웨어가 장착돼 있다는 메시지가 나오는데, 3Com 등 제품명을 넣고, Zadmin의 '네트워크 설정' 에서 자신이 사용하는 통신망 정보를 입력하면 설정 작업이 끝난다.

모뎀 이용자는 PC통신을 시작할 때 '가우(gau)' 를 실행하면 된다. gau를 클릭해 'atz' 와 'OK' 라는 메시지가 나오면 모뎀이 정상적으로 설치된 것이다.

gau 화면에는 기본적으로 하이텔.나우누리.천리안 등 PC통신 메뉴가 있어, 전화선이 연결된 상태에서 메뉴를 선택하면 자동으로 연결된다.

모뎀으로 인터넷에 연결하려면 '케이피피피(Kppp)' 프로그램을 쓴다. Kppp에는 한국통신의 코넷과 유니텔 등 주요 서비스가 설정돼 있어 자신의 ID와 비밀번호만 입력하면 바로 사용할 수 있다.

LAN사용자는 특별한 작업 없이 넷스케이프를 실행하면 바로 인터넷에 연결된다.

PC통신에 연결하려면 마우스를 gau에 갖다 놓고 오른쪽 버튼을 클릭한 뒤 '실행' 메뉴에서 명령어를 '가우아이(gaui)' 로 바꾸면 된다.

이창수(미지리서치 상품기획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