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금고 유치경쟁 후끈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5면

연말을 앞두고 금융기관들 사이에 시.군 금고 유치경쟁이 후끈 달아 오르고 있다.지자체와 금융기관 사이의 재계약이 연말을 전후 몰려 있기 때문이다.

현재 전북도내서 이달안으로 금고 재계약을 하는 지자체는 완주.임실.고창을 제외한 11개 시.군. 이들 시.군지역에서는 금고를 계속 맡아 관리하려는 금융기관과 이를 뺏앗아 자신들의 품으로 가져오려는 타금융기관 사이에 물밑 싸움이 치열하다.

전주시의 경우 내년 살림살이 규모는 전체 4천3백여억원. 이중 일반회계분(2천9백30여억원)금고를 농협과 전북은행이 서로 맡겠다며 한판 승부를 펼치고 있다.

전북은행은 지난 30여년 동안 시금고를 맡아온 관리능력과 유일한 향토은행이라는 점을 내세우며 재계약을 자신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A4용지 1백여쪽 분량의 '시금고 유치 제안서' 까지 만들어 제출한 농협측은 튼튼한 재무구조와 넓은 지역망 등 장점을 앞세워 금고유치에 눈독을 들이고 있다. 농협측은 특히 전국 자치단체 금고의 66%를 관리하고 있으며 전주시내에만 30여개의 점포를 갖추고 있다는 점 등 관리능력과 편리성이 뛰어나다는 점을 집중적으로 부각하고 있다.

지금까지 지자체 금고 관리는 농촌서는 농협이, 도시지역서는 시중은행이 우위를 보여왔다.

그러나 최근들어 지자체들이 한푼이라도 이자수입을 더 많이 주는 곳으로 발길을 돌리겠다는 뜻을 드러내 보이면서 이같은 등식이 깨지고 있다.때문에 일부에서는 공개경쟁까지 실시하고 있다.

금융기관 입장에서도 지자체금고가 가장 큰 고객중 하나라 사활을 걸고 유치경쟁을 벌이고 있다.일선군에서는 해당 금융기관 전체거래액의 30%이상을 차지할 정도다.

여기에 지자체의 금고를 맡아 관리한다는 이미지 홍보 효과도 크다.

전주시 관계자는 "시.군금고 계약은 단체장의 고유권한으로서 대부분 지역기여도와 안정성, 수익성 등 종합적인 면을 검토하여 결정하게 된다" 고 말했다.

전주〓장대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