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김영욱의 경제세상

김우중과 안철수

중앙선데이

입력

업데이트

"중앙선데이, 디시전메이커를 위한 신문"

얼마 전 사업을 접었다는 중소기업인을 만났다. 몇 년째 고전하다가 ‘용기’를 내 폐업했다고 했다. 사업을 접는데도 용기가 필요하다니! 사연인즉 이랬다. 회사가 돈을 빌리면 대표이사도 연대보증하는 구조 때문이란다. 회사가 못 갚으면 고스란히 자기 빚이 되기에 사업을 접는 것도 어렵다는 의미였다. “몇 달 후 돈 갚으라는 통지가 오면 ‘도망자’ 신세가 된다”는 바람에 같이 울 뻔했다.

어딜 가나 기업가정신 얘기다. ‘기업가정신 국제콘퍼런스’ ‘벤처 코리아 2009’ 같은 행사가 줄을 잇는다. 기업가정신 특강 프로그램도 곳곳에서 열리고 있다. 모두 다 기업가정신만이 살 길이라고 한다. 맞는 얘기다. 투자 부진이 장기화되고 있는 데는 기업가정신의 실종 탓이 크다. 과거에도 여건이 불확실하고 경영이 불안했지만 그때는 오히려 과잉투자가 걱정이었으니 말이다. 제시되는 해법도 다양하다. 연대보증제 폐지론도 있다. 앞의 기업인처럼 실패했다고 도망자 신세가 돼야 하는 사회에선 기업가정신을 기대하기 힘들어서다. 대기업의 불공정거래 얘기도 나온다. 될 만한 사업은 대기업들이 다 채가는 사회에서는 누군들 기업 하려 들까라는 의문이다. 전적으로 동의한다. 재기 기회를 줘야 하고, 창업자의 성공 확률도 높여야 한다. 그러나 이게 다일까. 이렇게 하면 기업가정신이 살아날까. 나는 그렇게 생각지 않는다.

이보다는 김우중 전 회장은 실패한 기업인으로 비난받고, 안철수 교수는 존경받는 기업인으로 평가받는 지금의 사회적 인식을 바꾸는 게 더 효과적인 해법이라고 본다.

경제학자들은 기업가정신을 야성적 충동이나 이노베이션이라 해석하지만 나는 ‘다 걸기’라 풀이한다. 자신의 인생을 몽땅 다 기업에 거는 정신 말이다. 기업을 살리고 성장시키기 위해서라면 그 어떤 치욕도 감수하는 정신, 하루 24시간을 몽땅 기업에 쏟아붓는 정신, 자신과 가족의 삶까지 팽개치는 정신 말이다. 대우그룹 창업자인 김 전 회장은 평생 ‘일과의 전쟁’을 벌이며 그 누구보다 치열하게 살았던 사람이다. 잠을 하루 4시간 이상 자본 적이 없고 30분마다 사람을 바꿔 만났으며, 사흘 중 이틀을 해외에서 보냈다. 휴일도 없었고, 가족과 함께 해수욕장을 가본 기억조차 없다. 그의 머릿속에는 오로지 사업뿐이었다. 매 순간 피말리는 결정을 내리면서도 그는 줄곧 그렇게 살았다. 그때도 사업하다 망하면 가산을 탕진해야 했고 대기업 횡포도 심했지만 그는 다 이겨냈다. 삼성·현대와 어깨를 나란히 할 정도의 대기업을 일궈냈고, 32만 개의 일자리도 만들었다. 인생을 몽땅 걸었기에 가능했던 신화였다.

안철수연구소를 창업했다가 KAIST로 전업한 안 교수는 다르다. 물론 존경받아 마땅한 사람이고, 편안한 의사의 길을 포기하는 등 치열한 삶을 살고 있는 사람이기도 하다. 하지만 기업인으로선 김 전 회장이 더 존경받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안 교수가 적어도 자기의 인생을 김 전 회장처럼 몽땅 기업에 걸지는 않은 듯해서 하는 말이다. 일궈낸 기업 규모와 만든 일자리 수도 격차가 있다. 김 전 회장이었다면 한창 나이에 경영 일선에서 은퇴해 교수로 진로를 바꾸지 않았을 것이다.

우리 사회는 안 교수를 김 전 회장보다 더 ‘존경받는 기업인’으로 평가한다. ‘존경받는 인물’ 순위라면 납득되지만. 이런 평가는 젊은이들일수록 더 하다. 김 전 회장을 모르는 청년도 많다. 안다고 해도 실패한 기업인, 20여조원의 추징금을 내야 할 죄인쯤으로 인식한다. 이런 풍토 속에서 기업가정신을 운운하는 것 자체가 어불성설이다. 기업을 적당하게 키운 후 다들 교수 하겠다는 그런 사회에선 기업가정신이 충만하기는 어렵지 않을까. 김 전 회장은 재평가받아야 한다. 실패했지만 기업가정신은 충만했던, 그래서 존경받아야 할 기업인으로 말이다. 내년 이맘때는 전국을 돌면서 젊은이들을 대상으로 기업가정신을 열강하는 김 전 회장의 모습을 볼 수 있었으면 한다.

김영욱 기자 youngkim@joongang.co.kr

중앙SUNDAY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