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동성로 한전 배전반 철거 논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5면

대구시 중구 동성로 중간을 가로막고 있는 한전 배전반의 철거 논란이 또 다시 불거지고 있다.

동성로 상인들은 '대구의 명동' 격인 동성로에 배전반을 없애겠다며 철거 서명작업을 펴기로 했다.

지금까지 대구시.중구청.한전 등에 철거 요청만 해왔던 상인들이 19일부터 서명작업을 벌이기로 한 것이다.

◇ 실태〓대구 중구 동성로 대우빌딩~대구백화점 사이 6백m구간에 78개의 배전반(변압기와 개폐기박스)이 늘어서 있다.

이 배전반은 너비 1.5m.길이 1m.높이 1.65m크기로 너비 10m정도의 도로 한가운데에 설치돼 있다.

보행자전용도로에 설치된 배전반을 피해 다니다 보니 좁은 도로가 더욱 좁아 보인다. 특히 30만~50여만 명이 몰리는 주말.휴일엔 걸어다니기 조차 힘들 정도다.

게다가 지난해 12월 부산시 중구 남포동 주택은행 앞 배전반이 폭발, 행인들이 다치는 사고가 알려지면서 시민 불안감도 커지고 있다.

문제는 비용. 한전은 동성로 4개소에 각각 1백평 정도의 장소를 마련, 이들 배전반을 넣을 경우 땅값과 비용만 1백50억원에 이를 것으로 본다.

시민들은 "한전.대구시 등이 책임을 서로 떠넘기지 말고 비용 분담 등 해결방안을 함께 모색하라" 고 주문한다.

◇ 상인들 입장〓동성로상가발전협의회는 93년부터 배전 기기 이설을 요구해 왔다.

배전반 때문에 패션거리인 동성로가 제구실을 못하고, 보행자 불편은 물론 안전도 위협받는다는 주장이다.

권회기(權會基.57)사무국장은 "기술적으로 불가능하다면 몰라도 비용 때문에 안된다는 것은 말도 안된다" 며 조속한 이전을 요구했다.

◇ 대구시.중구청 입장〓93년 부터 4차례에 걸쳐 한전에 배전반 이설을 요청했다. 배전반 소유.관리기관인 한전이 이전 책임을 져야 한다는 것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전기를 안전하게 공급할 책임은 한전에 있는 만큼 한전이 동성로의 배전반을 옮겨야 한다" 고 주장했다.

◇ 한전 입장〓대구시.중구청이 이전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는 입장. 91년 11억원을 들여 전봇대를 없애고 전선을 땅에 묻는 지중화 사업을 했는데 또다시 이전을 책임지라는 것은 무리라고 말한다.

전기사업법 43조에 따라 지중화 사업이 끝난 전기시설의 이전은 요청한 사람이 비용을 물어야 한다는 것.

홍권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