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취재] 과기원 안전관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일반 대학보다 실험실 안전에 관해 상대적으로 관리가 잘 되고 있다. 교육부가 아닌 과학기술부 산하에 있어 산업안전보건법 규정에 따라 실험실 관리를 하고 있기 때문. 이 규정을 지켜 실험실을 전담하는 '안전과' 를 두고 있다.

안전요원은 8명. 전체 2백개 연구실 중 수학과처럼 특별히 위험요소가 없는 곳을 제외한 1백11개 실험실을 안전요원들이 수시 점검한다. 불시 점검에서 위반 사례가 발견되면 주의를 주고, 3차례 주의에도 규정을 어길 때는 실험실 폐쇄까지 명령한다.

실험실 안전과 관련해 지출하는 예산은 올해의 경우 전체 경상비 49억원의 2.45%인 1억2천만원. 이 돈으로 안전장비를 구입하거나 안전교육 강사료 등을 지불한다.

96년 5월에는 대학 중 유일하게 한국산업안전공단에 점검을 의뢰, 95개 실험실이 안전진단을 받았다.

KAIST는 까다롭기로 소문난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의 안전관리 체계를 바탕으로 ▶폐기물 처리▶방사선 안전▶사고시 응급조치 등 실험실 안전의 모든 분야를 다룬 2백쪽 분량의 지침서를 96년 발간했다. 이 지침서는 산업안전공단이 올 2월 펴낸 '실험실 안전지침' 에도 주요 참고자료가 됐다.

그러나 이런 체계에도 불구하고 취재팀이 화학.생물분야 실험실을 돌아본 결과 ▶가운을 입고 실험하는 경우가 드물었고▶실험실 비상구가 캐비닛 등으로 막혀 있는 등 문제를 노출하기도 했다.

실제 지난 15일 기계공학과에서 기계설비의 뚜껑이 날아가는 사고가 나 대학원생 1명이 가벼운 화상을 입었다.

장비결함으로 일어난 사고였지만 실험자가 보안경 착용 등 기본수칙을 지켰다면 화상은 피할 수 있었던 상황이었다.

김용식 안전관리과장은 "관리체계도 중요하지만 학생들 스스로 안전수칙을 지키려는 태도가 필요하다" 고 말했다.

한편 KAIST에는 사고발생시 치료비 보상을 위해 의료상조회가 구성돼 있다. 20억원의 기금이 조성돼 1인당 5백만원 한도내에서 치료비를 보상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