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세력과도 연대가능"-이회창총재 부산회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한나라당 이회창(李會昌)총재가 14일 부산방문을 마지막으로 지방순회를 마쳤다. 李총재는 부산에서 지방순회를 마무리하는 기자회견을 갖고 "현 정권의 반(反)민주적 국정운영이 낱낱이 드러나고 있다" 고 목소리를 높였다.

대표적 반민주 행태로는 ▶언론탄압▶도.감청과 계좌추적▶동티모르 전투병 파병▶경제정책 실패 등 네가지를 꼽았다.

그는 "중앙일보 언론탄압과 유사한 사례가 다른 언론사에서도 이뤄졌다고 들었다" 며 "모든 언론사가 언론자유 수호에 동참해야 한다" 고 강조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 여권은 '국민의 정부' 에선 언론자유가 보장된다고 주장하는데.

"청와대 공보수석이 기사를 빼라고 요구하고 인사에 개입하는 게 언론탄압이 아닌가. 이것이 언론탄압 아니라고 주장하는 사람을 본적이 없다. 많은 언론사가 이같은 요구를 받고 불쾌하게 생각한다는 얘기를 직접 들은 적도 있다. 한나라당은 중앙일보라는 신문사를 편드는 게 아니다. 언론자유를 수호하기 위해 투쟁하는 것이다. "

- 2여(與)가 중선거구제에 합의했는데.

"당론이 소선거구제이고 이를 지키겠다. 정치개혁을 한다면서 중선거구제로 간다면 시대 역행이다. 일본도 중선거구제는 돈이 많이 들고 정경유착 원인이 돼 소선거구제로 바꿨다. "

- 2여가 합당할 경우 이탈세력과 연대 가능성은.

"연대는 어떤 방식으로든 가능하다. 반민주주의를 민주주의로 가장하고 총선으로 이를 고착하려는 여권의 의도를 분쇄하는 게 중요하다. 이를 위해 범야권의 폭넓은 연대세력을 형성할 수 있다. "

- 민주산악회에 참여한 김명윤(金命潤) 의원 등의 당직 복귀문제는.

"민산이 정치세력화 하는 것은 야당 분열이므로 곤란하다. 그렇지 않다면 반민주화를 막는 대장정에 모두 함께 간다. "

- 부산경제 회생을 위한 방안이 있나.

"경제난은 정부 실책 탓이다. 삼성차 문제는 대우와의 빅딜 때문에 불거졌다. 파이낸스 사태도 금융감독위의 방치로 문제가 커졌다. 경제정책이 과시주의와 땜질식 처방에 머물러 있다. 당차원의 근본대책을 마련 중이다. "

李총재는 이어 '부산경제가꾸기 시민연대' 를 찾아 관계자를 격려한 뒤 저녁에는 부산국제영화제 개막식에 참석했다.

부산〓최상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