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 베를린협상 타결이후] DJ 대북구상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김대중 (金大中) 대통령은 베를린 북.미회담의 타결을 '포용정책의 성과' 라며 흐뭇해했다.

북.미회담의 타결을 미리 알았던 빌 클린턴 미국대통령은 3국 정상회담에서 "우리 세 나라가 정말 좋은 정책을 개발했다" 고 자평했다.

오부치 게이조 (小淵惠三) 일본 총리도 "우리 3국의 대북정책은 金대통령의 포용정책을 중심으로 하고 있다" 고 말했다.

베를린 회담의 타결로 金대통령의 포용정책이 힘을 얻고 있다.

서해 연평해전 이후 주춤하던 모습에서 벗어나고 있다.

金대통령의 뉴질랜드 방문을 수행 중인 고위 관계자는 "金대통령은 앞으로 햇볕정책을 더욱 밀어붙일 것" 이라고 예고했다.

그는 "북한이 미국측 요구를 사실상 받아들이기로 한 이유를 알아야 한다" 고 주문했다.

채찍에 겁먹기보다 경제지원의 당근에 매료됐다는 얘기다.

따라서 우리 정부의 정책 방향도 그 방향으로 나아갈 것이란 설명이다.

특히 이 관계자는 "남북간 관광 및 기업투자 확대조치가 뒤따를 것" 이라고 예고했다.

그는 "기업의 투자라는 것은 돈을 예치 (deposit) 한다는 의미가 있고 그것은 그만큼 북한의 안정이 우리의 이해와 일치한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는 것" 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중단상태인 당국자 (차관급) 회담의 재개를 추진하고, 남북 채널을 격상시켜 특사교환.정상회담까지를 구상하고 있다.

오클랜드 = 이연홍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