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당준비위 연기설 제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9면

여권 일각에서 다음달 10일로 예정된 신당 창당준비위원회의 연기론이 제기되고 있다.

우선 김민석 (金民錫) 신당발기인 대변인은 12일 "창당준비위가 구성되면 바로 선관위에 등록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고 말했다.

그럴 경우 창당준비위는 사실상의 정당 대접을 받게된다.

국회법이나 정당법에 규정한 자격과 권한을 갖추는 것이다.

물론 창당준비위에 참여하는 국민회의 의원들은 탈당해야 한다.

金대변인은 "이럴 경우 교섭단체 구성 등 새로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고 말했다.

창당준비위에 포함되는 국민회의 의원들이 20명을 넘으면 국회에 자동적으로 새로운 교섭단체가 생기기 때문이다.

그러면서 金대변인은 "법적.기술적 측면에서 창당준비위 시기조정 문제가 검토돼야 할 것" 이라고 말했다.

이밖에 표면상 이유는 이날이 일요일이란 점. 대규모 정치행사를 치르기 적합하지 않다는 지적이 내부 검토과정에서 있었던 것으로 전해진다.

또 "국정감사 도중인데 의원들이 대거 참석하면 국감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 는 설명도 붙여졌다.

하지만 근본적 이유는 다른 데 있는 것 같다.

우선 영입작업을 맡은 쪽에서 "중선거구제 등이 확정되지 않은 상태라서 외부인사 영입에 한계가 있다" 며 어려움을 호소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들은 선거구제가 어떻게 결정되느냐에 따라 당선 가능성이 달라지는 영남출신 인사들의 영입을 보다 순조롭게 추진하기 위해 창당준비위 구성을 연기해달라고 당 지도부에 요청했다는 후문이다.

국민회의 내부에서 재부상하고 있는 자민련과의 합당론도 변수가 됐다.

신당을 '국민회의+영입파' 의 골격으로 확정하고 이를 밀어붙이기보다 시간을 벌면서 자민련의 참여여지를 남기자는 주장이다.

일단 창당준비위가 구성되면 신당의 모양새가 사실상 갖춰지기 때문에 자민련을 끌어들이기 쉽지 않고 자민련 내의 합당파들도 충청권 등 내부의 반대파를 설득하기 어려워진다는 것이다.

그러나 반대론도 만만치 않다.

"자꾸 일정을 바꾸면 '신당도 한두 사람이 멋대로 한다' 는 비판이 나올 것" 이라며 일정대로 강행하자는 주장이다.

이정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