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위해 여권 전략수정…자민련에 합당 손짓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김대중 (金大中) 대통령의 요즘 최대 관심사는 신당이라고 한다.

하루에도 몇번씩 청와대나 당 관계자들에게 작업 추진상황을 챙긴다는 것이다.

그만큼 내년 총선의 중요성을 깊이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대통령 임기 (5년) 와 의원 임기 (4년) 의 차이에서 오는 집권 중반기 권력누수를 막기 위해서는 총선 승리가 필수적이라는 게 金대통령의 생각" 이라는 것이다.

이에 따라 金대통령은 최근 중대한 결심을 했다는 후문이다.

신당의 형태를 전면 수정하기로 한 것이다.

기존의 '국민회의+외부인사' 형태에서 '국민회의+자민련+외부인사' 의 형태로 참여세력을 확대해야 한다는 판단을 했다고 한다.

그러지 않고는 총선 승리를 담보할 수 없다는 당 안팎의 여론이 궤도를 수정케 한 결정적 요인이라고 한 관계자는 전했다.

특히 국민회의와 자민련이 연합공천을 할 경우 공천에서 탈락한 인사들이 무소속으로 출마해 여권 표를 잠식할 것이라는 등의 문제점을 적나라하게 보고받기도 했다는 후문이다.

이는 지난 7월 내각제 연내 개헌 유보결정 직후 여권에서 추진된 '2+α' 방식으로의 회귀를 뜻한다.

다만 3자가 기득권을 포기하고 동등한 권한을 갖는다는 의미에서 '1+1+1' 방식이라는 얘기다.

그렇지만 현재 추진 중인 신당 창당작업은 계속 진행할 것이라고 한다.

자민련의 참여 여부는 자신할 수 없는 대목이기 때문이다.

아직 여권 핵심부는 이 문제를 놓고 자민련과 구체적인 협의를 하지는 않고 있다고 한다.

따라서 "金대통령은 앞으로 김종필 총리와 자민련 박태준 (朴泰俊) 총재를 집중 설득할 것" 이라고 이 관계자는 전했다.

그는 "金대통령은 총선 승리의 당위성을 설명하며 자신도 신당의 총재를 맡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설득논리로 내세울 것" 이라고 말했다.

신당 창당 작업에 참여하고 있는 여권관계자는 "신당의 총재는 국민회의.자민련.외부인사 등 3자가 논의해 결정하게 될 것" 이라며 "총재를 자민련이 맡으면 대표는 국민회의와 영입파가 공동으로 맡는 등 3자가 적절히 당직을 배분하게 될 것" 이라고 말했다.

이연홍.이상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