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당창당 관련 동교동계 거취 고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여권의 신당 창당 과정에서 국민회의 동교동계 의원들의 선택은 무엇인가.

이들의 행보가 현 정권의 정국운영.권력구도와 관련이 있다는 점에서 정치권 전체가 동교동계를 주목하고 있다.

그중 흐름의 하나가 '2선 후퇴론' 이다.

자신을 '과도기 총장' 으로 표현했던 한화갑 총장은 22일 "신당이 뜨고 괜찮은 사람이 오면 물러난다는 입장은 유효하다" 며 "동교동계가 맨 앞에 포진해 있으면 전국정당.공당 (公黨) 의 이미지를 줄 수 있겠느냐" 고 반문했다.

정동채 (鄭東采) 기조위원장 주변에서는 신당 창당 과정의 다양한 '기득권 포기' 방안도 검토 중이라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한 당직자는 "창당준비위나 발기인 모임에도 동교동계는 2~3명의 '상징적 인사' 만을 포함시킬 수 있다" 고 했다.

신당 창당 후에도 동교동계는 새 세력의 활동공간을 뒷받침해주기 위해 일정기간 물러서야 하며 동교동계의 '기득권 포기 선언' 같은 의지표명도 가능할 수 있다고 했다.

당내 일각에서는 동교동계의 분화 (分化) 까지 관측하고 있다.

핵심역할을 맡은 동교동계 일부 인사들이 신당의 '신 (新) 주류' 로 편입되며, 나머지와 분리돼 동교동의 '세력분화' 흐름이 나올 것이라는 얘기다.

다른 의견도 만만치 않다.

동교동계의 한 의원은 "DJ가 있는 한 동교동계의 세력분화 현상은 있을 수 없다" 고 단정했다.

그는 "동교동계라는 힘의 축이 사라질 경우 권력 진공상태라는 더 큰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 며 "신당세력의 외연 (外延) 확대를 위해서도 구심점인 동교동계는 뭉쳐야 할 것" 이라고 강조했다.

설훈 (薛勳) 의원도 "신당의 얼굴이 동교동계냐 아니냐는 초점이 될 수 없다" 며 "누가 더 당 발전과 총선승리에 기여할 수 있느냐의 문제" 라고 '2선 후퇴론' 의 명분에 동의하지 않았다.

특히 동교동계 의원들이 국회에서 힘을 쓰지 못할 경우 김대중 대통령의 임기 이후 1년4개월이나 지속될 16대 국회에서 '원내 보호막' 이 사라지게 된다는 논리다.

동교동계의 선택은 신당 창당과 향후 정국운영에 대한 'DJ의 의지' 가 핵심요소가 될 것이라는 게 유력한 전망이다.

최훈.이상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