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 섞어 매립.소각…분리수거 정책 실효잃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9면

음식물 쓰레기를 자원화 하기위해 지난 96년부터 시작된 쓰레기 분리수거 정책이 실효를 잃고있다.

각 가정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애써 분리해 봤자 지방자치단체들이 생활 쓰레기와 뒤섞어 매립.소각하고 있어 주부들의 노력이 헛수고가 되고있기때문이다.

지자체들은 한결같이 자원화 시설이 아직 제대로 갖춰지지 않았고 인력.예산 부족 때문에 어쩔 수 없다는 설명이다.

경기도 성남시의 경우 하루 1백25t의 음식물 쓰레기가 발생하지만 이중 14t만 사료 등으로 재활용하고 나머지는 모두 생활쓰레기와 섞어 소각처리하고 있다.

수원시도 하루 1백50여t의 음식물 쓰레기 중 아파트 등 공동주택에서 수거한 50t정도를 퇴비화할뿐 나머지는 생활쓰레기와 함께 매립하고 있다.

또 안양시도 하루 1백20t중 55t, 의정부시는 70t중 20t의 음식물쓰레기를 사료화 할뿐 모두 일반쓰레기와 뒤섞어 매립, 또는 소각하고 있다.

이처럼 지자체들이 분리수거의 취지와 어긋나게 쓰레기를 처리하는데 대해주민들의 불만이 높아가고 있다.

분당신도시 정자동에 사는 주부 金현옥 (35) 씨는 "여름철 집안에 쓰레기 냄새가 코를 찔러도 참아가며 분리하고 있는데 처리과정에서 도로 일반쓰레기와 섞는다는 얘기를 듣고 허탈했다" 고 말했다.

의정부시 관계자는 "당초 지난해말까지 30억원을 들여 하루 30t규모의음식물 쓰레기 자원화 시설을 조성하려 했지만 예산확보가 안돼 늦어지고 있다" 며 "내년말까지 자원화 시설을 설치할 예정" 이라고 말했다.

정재헌.전익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