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러나는 신당그림… 청와대.2與 합당파 물밑교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국민회의와 자민련간 합당론의 불씨가 되살아나고 있다.

이번에는 한나라당 일부까지를 포함해 신당을 창당하자는 큰 그림의 정계개편 구상이 꿈틀거리고 있다.

이른바 '2+α' 신당론이 정치권에 퍼지고 있다.

진원지는 국민회의. "내각제 개헌을 위해서는 내년 총선에서 승리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연내에 합당을 이뤄내야 한다" 는 논리가 갈수록 힘을 얻어가고 있다.

대표적인 합당론자는 설훈 (薛勳) 의원. 그는 '연내 합당 - 새 여당이 내각제 개헌 공약을 걸고 내년 16대 총선 승리 - 2002년 가을 내각제 개헌 작업 - 2002년 말이나 2003년 2월 대선 (大選) 대신 총선을 치러 내각제 출범' 의 구체적 일정을 제시해 왔다.

薛의원은 당 기조위원장으로 있던 지난 3월 11일 이같은 방안을 처음으로 공개했다.

이 경우 16대 의원은 4년 임기를 보장받기 어렵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대해 薛의원은 "당선된 뒤라면 모르지만 총선을 치르기 전이라면 정치적 합의가 가능하다" 고 밝혔다.

한화갑 (韓和甲) 사무총장도 합당을 소신으로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같은 날 "향후 내각제 문제가 거론되는 과정에서 내각제로 갈지 아니면 이대로 (金大中 대통령의) 임기를 마칠지 모르겠다" 고 말했다.

합당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지만 薛의원의 '임기말 개헌론' 과 일맥상통하는 발언으로 주목받았다.

김영배 (金令培) 전 총재권한대행도 지난 4월 8일 대행으로 지명된 직후 " (자민련과의) 합당이 필요하다" 고 말했다가 자민련측의 항의를 받고 긴급 해명한 바 있다.

이밖에 안동선 (安東善) 지도위의장도 합당론자로 알려져 있으며 청와대의 일부 고위 관계자도 당측과의 교감 아래 합당을 모색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金대통령이 지난 12일 국민회의 신임 당직자들에게 당보 발간과 당원 연수를 자민련과 공동으로 실시하라고 지시한 것도 합당 분위기의 성숙을 염두에 둔 발언으로 여권 관계자들은 해석하고 있다.

자민련 쪽에서도 비슷한 흐름이 있다.

그러나 자민련 관계자들은 '합당' 이라는 용어 대신 '대통합' 이란 표현을 선호하고 있다.

박철언 (朴哲彦) 부총재는 평소 "국민회의.자민련, 한나라당의 통합세력, 젊은 개혁세력을 모으는 대통합당이 출현해야 한다" 고 강조해왔다.

그는 JP의 연내 개헌 포기 방침이 알려진 14일 JP와 독대했으나 대화내용에 대해서는 함구하고 있다.

박태준 (朴泰俊) 총재도 여러차례 합당론을 시사하는 발언을 했다.

자민련내 비충청권 의원 대다수가 합당론자라 해도 무리가 아니다.

제2 창당의 또하나의 지렛대인 한나라당 영입대상 의원들은 입당시기를 국민회의.자민련 합당 등 정계개편 시점에 맞추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내각제 개헌 추진 동참' 등 정치적 명분을 갖기 위해서다.

대상은 수도권과 중부권의 L.C.다른 L의원 등. 그러나 이미지가 다른 세력간의 합당은 총선에 오히려 부정적인 요인이 될 것이라는 비판론도 있고, 자민련 충청권 의원들의 반발도 만만치 않은 등 변수가 많아 성사 여부는 아직은 안개 속이다.

이하경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