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 침략기 대한제국 독립 지지 … 빌헬름2세, 1902년 고종에 밀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당시 복잡한 국내외 상황 탓에 밀서는 독일 외교부 정치문서보관소에 100여 년간 봉인돼 있었다. 동일한 내용의 빌헬름 2세 친서가 이듬해인 1903년 고종 황제에게 전달됐다는 독일 측 외교 기밀문서의 기록도 함께 발견됐다. 고종이 손에 쥐었을 그 밀서의 행방은 현재 미스터리로 남아 있다.

<그래픽을 누르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상수(45) 명지대 인문과학연구소 연구교수는 지난 8월 독일 외교부 정치문서보관소에서 이 밀서를 발견해 28일 본지에 단독 공개했다. 밀서가 작성된 1902년은 고종(1852~1919, 재위 1863~1907)의 즉위 40년, 탄생 51년이 되던 해다. 이를 기해 대한제국은 대대적인 기념행사를 계획했다. 그해 1월 ‘영일동맹’이 체결돼 국제 정세가 요동치던 시점이다. 조선에 대한 일본의 ‘특수한 이해’를 보장하는 조약으로 대한제국의 독립이 더 위태로워지던 때다.

정 교수는 “이런 상황에서 독일 황제의 밀서는 대한제국의 독립을 적극 지지한다는 확신을 고종 황제에게 주기 위해 작성됐다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빌헬름 2세의 밀서는 “독일제국과 대한제국의 관계가 앞으로 더욱 확고해지기를 바란다”는 내용에 이어 ‘황제 폐하의 좋은 친구’라는 문구로 마무리된다.

빌헬름 2세의 1902년 밀서는 전달되지 않았지만 같은 내용의 1903년 밀서는 고종 황제의 수중에 들어간 것으로 추정된다. 고종 황제는 이 밀서를 통해 독일 황제의 신뢰를 확인했기 때문에 1906년 을사늑약의 부당성을 호소하는 밀서를 빌헬름 2세에게 보냈던 것으로 여겨진다. <본지 2008년 2월 20일자 1면>

고종 황제의 문서는 현재 350여 건 전해지지만 외국의 국가수반으로부터 받은 편지는 한 건도 남아 있지 않다. 정 교수는 “이 밀서는 고종 황제의 독립외교가 나름의 결실을 맺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첫 증거”라고 평가했다.

배노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