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포 재건축 시동…용적률 낮아 주민부담 클듯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1면

서울 개포.고덕 등 택지개발지구내 저층 아파트 재건축 사업의 채산성은 어떻게 될까. 최근 서울 강남구청이 개포지구 일대를 도시설계구역으로 지정하기 위해 주민 공람에 들어가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도시설계구역으로 지정되면 용적률.건물높이.디자인.기반시설.공지조성 등 개발 관련 사항을 일일이 정하는 도시설계가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규정에는 택지개발지구.구획정리사업지구 등의 경우 사업 완료 10년이 지나면 그 지역을 도시설계구역으로 지정하고 기반시설 등 주변 여건을 감안해 도시설계를 마련하도록 돼 있다.

도시설계구역의 지정 절차는 상세계획구역보다 몇단계 줄어 일이 빨리 진행될 가능성은 크다.

서울시는 사업이 완료된지 10년이 지난 택지지구에 대해 내년 5월9일까지 도시설계구역으로 지정토록 각 구청에 시달했다. 구역이 지정되면 2년내 도시설계를 작성해야 한다.

택지지구내 저층 아파트는 도시설계가 나와야 재건축 사업을 벌일 수 있다. 용적률이 낮게 잡히면 채산성이 떨어져 사업이 그만큼 어려워진다. 그렇다면 개포지구의 재건축은 가능한가.

개포지구는 재건축요건만 맞으면 빠르면 도시설계가 마무리되는 2002년께 사업을 진행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현재 분위기로는 고밀도 개발이 어려울 전망이다.

고밀도로 개발하게 되면 기반시설 부족현상이 벌어지고 교통.환경 등도 좋지 않아 도시설계 심의과정에서 제한할 공산이 크다.

서울시 도시정비과 김용호 계장은 "지금 기본계획이 수립중인 서울 잠실 등 저밀도지구와 비슷한 양상이 될 것" 이라고 말했다.

그렇게 되면 용적률이 2백50%안팎으로 결정되고 단지내 학교.공원 등도 만들어야 해 주민들의 추가부담이 많아질 수밖에 없다. 게다가 서울시 도시계획 전문가들은 용적률 2백50%도 많다는 입장이어서 앞으로 더 낮아질 가능성도 크다.

강남구청의 개포지구 도시설계구역 지정 공람을 계기로 이 일대 저층 아파트값이 5백만~1천만원 가량 올랐다. ▶11평형의 경우 1억~1억5백만원 ▶13평형 1억4천만원 ▶15평형 1억8천만원 ▶17평형 2억3천만~2억4천5백만원 ▶22평형 2억7천만원 ▶25평형 3억원 선을 호가하고 있다.

최영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