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찾은 코소보] 코소보 어떻게 되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9면

이번 평화협정에는 코소보의 장래에 대한 언급이 따로 없다.

따라서 코소보의 향후 위상은 지난 3월 공습 직전 만들어진 랑부예 평화협정안에 준해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랑부예 회담에서 서방 5개국 중재단이 제시한 평화안은 코소보에 임시정부를 수립, 3년간 자치를 수행한 뒤 국제회의를 열어 주민들의 뜻을 반영한 최종결정을 내린다는 것이다.

최종결정을 위해서는 주민투표안이 강하게 대두했다.

이는 코소보 독립을 염원해온 알바니아계 주민들의 바람이기도 했다.

코소보 주민 중 알바니아계가 90%라는 절대다수여서 투표를 할 경우 유고에서의 독립이 이뤄질 수 있기 때문이다.

밀로셰비치 대통령이 평화안에 반대한 것도 그 때문이다.

하지만 랑부예 평화안은 코소보에 대한 유고의 영토적 주권을 인정하고 있다.

이같은 기조는 이번 평화협정에서도 이어지고 있다.

미국을 비롯한 서방측은 이번 전쟁을 통해 민족의 성지인 코소보에 대한 유고의 집착이 얼마나 강한 것인가를 재확인했다.

결국 나토는 유고군 완전철수에서 문화유적 보호를 위한 최소한의 병력 주둔 인정으로 후퇴했다.

따라서 코소보의 위상은 밀로셰비치가 89년 빼앗은 자치권을 도로 찾아 유고연방의 자치주로 환원될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나토 주도의 평화유지군과 러시아군이 코소보를 분할 통제할 경우 코소보가 남북으로 분할되는 최악의 상황도 결코 배제할 수 없다.

이훈범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