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의보료 덜 벌수록 부담 더 높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최근 대폭 인상돼 국민연금 파동에 이은 제2의 민원 대란을 부른 지역의보료 (가입자 7백93만가구) 의 부과방식이 저소득자에게 불리하게 설계된 것으로 밝혀졌다.

소득이 낮은 사람이 높은 사람을 도와주게 되는 소득역진 (逆進) 성이 두드러지는 사실이 드러난 것이다.

종래에는 지역의보료 산정시 과세소득의 상당 정도를 정률 (定率) 로 부과했으나 지난해 10월 지역의보가 통합되면서 소득.재산 수준에 따라 정액 (定額) 으로 매기도록 바뀌면서 생긴 현상이다.

한양대 경제학부 사공진 (司空珍) 교수는 30일 "과세소득이 연 5백만원 이상인 약 73만가구에 적용되는 소득등급별 정액의보료를 분석한 결과 최저소득 가구의 의보요율이 최고 소득 가구보다 다섯배나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고 밝혔다.

국세청에 신고한 과세소득이 가장 높은 (50등급.연 1억5천만원 이상)가구에는 1.2%의 의보요율이 적용되는데 비해 가장 낮은 (1등급.연 5백만원대) 가구의 의보요율은 6.1%나 되는 것으로 계산됐다는 것이다.

이는 직장가입자의 평균 의보요율 3.29%보다 높은 것이다.

또 재산비례 보험료의 경우 재산이 가장 적은 가구 (1등급.1백만~3백만원) 의 의보요율이 재산평가액의 0.96%여서 재산이 가장 많은 가구 (50등급.20억원 이상) 의 0.06%보다 16배나 높다.

현재 지역 의보료는 소득비례 의보료와 재산비례 의보료를 합해 산정된다.

司空교수는 "소득재분배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정률제로의 전환을 복지부가 진행 중인 의보료 재편작업을 통해 추진해야 한다" 고 강조했다.

복지부는 정률부과가 바람직한 방향이라는 점은 인정하나 지역에 따라서는 통합 이후 소득역진성이 크게 줄어들었다고 반박한다.

복지부 이상룡 (李相龍) 보험정책과장은 "내년 지역.직장의보 통합시 정률제 도입도 검토 중" 이라고 말했다.

박태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