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천공단 조성, 낙동강 수질개선과 병행추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지난 91년 12월 공단지정 방침이 발표된 이래 부산시민 등의 반대로 무려 7년을 끌어온 대구 위천공단 문제에 대해 정부가 '낙동강 수질개선과 공단조성 병행 추진' 쪽으로 내부방침을 굳힌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고위관계자는 21일 "위천공단 개발로 인한 수질오염은 미미하다는 국내외 연구기관의 조사결과가 나왔다" 며 "정부는 오는 6월 낙동강 수질개선 종합대책방안을 발표하면서 위천공단 조성방침도 밝힐 예정" 이라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위천공단 조성방침이 확정돼도 공장들이 가동되기까지는 5년여가 소요된다" 며 "이 기간중 수질개선에 집중 투자하면 공단조성에 따른 낙동강 수질오염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을 것" 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청와대 관계자는 "지난 19일 김대중 대통령과 김종필 총리간의 청와대 주례독대에서 정부방침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고 말했다.

정부 '낙동강수질개선 및 위천공단 건설대책위원회' (위원장 鄭海주 국무조정실장) 로부터 용역의뢰를 받은 미국 아르곤연구소와 포항산업과학연구원의 시뮬레이션 조사에선 공단이 개발될 경우 낙동강 하류지역의 생화학적 산소요구량 (BOD) 이 0.02ppm, 국내 개발모델을 적용한 朴모 교수의 연구에선 0.01ppm 상승이라는 극소량의 영향만 미친다는 결론이 나왔다.

그러나 부산.경남 주민들의 반발이 예상돼 진통이 만만찮을 전망이다.

박승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