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 노사 왜 접점 못찾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1면

구조조정을 놓고 야기된 지하철 노사의 극한 대립이 결국 파업으로까지 치닫고 있지만 양쪽 견해차가 너무 커 극적 타결마저 어려울 전망이다.

◇ 배경 = 지난해 말 현재 부채규모가 2조8천억원에 달하고 연간 적자도 3천5백억원 (순 경영적자 1천7백억원)에 달할 정도로 지하철 부실이 누적되자 서울시는 지난해 10월부터 지하철공사 등 산하 6개 투자기관에 대해 경영진단을 통한 구조조정에 착수했다.

현재 지하철공사만 빼놓고 나머지 5개 기관은 구조조정을 마친 상태. 노사의 직접적 대립은 서울시 시정개혁위원회가 지난 2월 2일 정원 경영진단 결과를 바탕으로 2천78명 감축과 정년 단축 (61→57세) 등을 골자로 한 구조조정 권고안을 노사 양측에 제시하면서 표면화됐다.

노사는 이후 두차례 협상 (2월 12일.3월 3일) 을 시도했으나 기본급 대비 2백50%를 지급하던 체력단련비 문제 등으로 결렬되자 노조는 지난달 26일 파업을 결의, 지난 14일부터 '준법투쟁' 을 벌여왔다.

◇ 쟁점 = 그동안 협상의 걸림돌이 돼왔던 체력단련비 문제는 공사가 17일 기본급의 1백% (84억원) 를 일률적으로 지급, 명목이 뭐냐를 놓고 명분 싸움만 빼면 가닥이 잡힌 상태다.

또다른 쟁점은 인력감축 여부. 공사는 "2001년까지 단계적으로 현 정원에서 2천78명을 감축, 조직을 줄여 연간 5백72억원의 인건비를 줄이되 인력감축 충격은 최소화하겠다" 는 입장이다.

이에 대해 노조는 "인력문제는 도시철도공사와의 통합과정에서 다시 논의할 수 있다" 고 밝혀 절충의 여지를 남겼다.

[파업일지]

▶2월 2일 : 서울시 지하철공사 구조조정 권고안 발표

▶3월 26일 : 찬반투표로 파업결의

▶4월 15일 : 노조 승무지부 준법운행 돌입

▶17일 : 준법운행 철회 지하철공사, 중앙노동위에 조정신청

▶19일 : 오전 4시 파업 돌입

장세정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