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슬람 무장테러단체들 맥도널드 체인점식 활동"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4면

"테러집단의 최근 형태는 '맥도널드 체인점'과 같다." 이집트의 저명한 테러리즘 전문가 디아 라슈완은 최근 전 세계에서 우후죽순처럼 생겨나는 이슬람 과격단체들을 이렇게 묘사했다. "체인점들은 모회사 매뉴얼대로 운영할 뿐 더 이상 본사의 지시를 받지 않는다"고 그는 덧붙였다.

최근 이라크와 중동지역에서 새로 등장하는 '알카에다형 조직'들은 독립된 소규모 테러단체다. '알카에다 아랍반도 총국'등의 이름을 쓰는 단체조차 알카에다와는 직접 연관이 없다. 영국에선 "알카에다는 이제 '조직'이라기보다 '운동'"이란 분석도 나온다. 2001년 9.11테러 이후 오사마 빈 라덴 등 주요 지도자들이 은신해 있어 알카에다는 조직 운영이 어렵지만 곳곳에서 자발적인 동조세력이 등장하고 있다는 것이다. 라슈완은 "동조세력은 체인점을 열 때도 모회사와 계약은커녕 신고조차 않는다"며 "빈 라덴의 소재도 파악하지 못하고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맥도널드의 총수' 빈 라덴은 가끔 육성 혹은 비디오 테이프를 통해 회사의 이념만 재확인해줄 뿐"이라는 것이다.

이들 단체는 소규모이지만 더욱 과격하다. 필요 정보만 입수하면 신속하게 작전을 짜고 테러를 감행한다. 필요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인질 납치, 강도 행각 등 민간인들에 대한 공격도 서슴지 않는다. 때로는 단체 간 경쟁으로 인질 참수라는 극단적인 방법까지 동원한다고 분석가들은 지적하고 있다.

문제는 이들 소규모 테러집단을 파악해 행동을 막기 어렵다는 점이다. 미국이 지난 3년 동안 테러와의 전쟁을 벌였지만 오히려 테러가 증가하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지난해 이라크의 유엔사무소 폭파, 올해 마드리드 열차 폭탄테러 등 대규모 폭탄테러가 발생했다. 그러나 알카에다의 하부 조직의 소행이란 추정만 있을 뿐 아직 주범이 밝혀지지 않고 있다.

카이로=서정민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