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안맞는 초고속 통신망]관련 용어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 정보고속도로 = 음성.영상.데이터 등 각종 정보를 획기적으로 빠른 속도로 주고받을 수 있는 통신망을 차량이 질주하는 고속도로에 빗대 부르는 용어. 90년대들어 미국 등 선진국들이 다퉈 투자에 나서는데 자극받아 우리나라도 95년 3월 정부 주도로 계획을 마련했다.

2015년까지 45조원을 투자한다는 게 당초 계획이었으나 최근의 기술개발로 투자비 절감요인이 발생한 점을 감안해 지난해말 2010년까지 32조원을 투자하는 것으로 수정됐다.

1조8천억원은 정부 예산, 나머지는 민간재원을 끌어들인다는 방침이다.

1단계인 주요 도시 광케이블 연결작업은 올해 4월 끝났고, 광케이블망을 1백44개 도시까지 확대하고 전송 용량도 대폭 늘린다는 2단계 계획이 2002년까지 진행 중이다.

◇ ATM (Asynchronous Transfer Mode.비동기 전송방식) =90년대초 미국 통신장비 업체들이 음성.영상 등을 광케이블을 통해 초고속으로 전송하기 위해 개발한 기술. 루슨트테크놀로지 등 미국 통신장비 회사들이 정보고속도로용 차세대 교환기로 ATM을 개발했으나 인터넷에 맞지 않다는 약점 때문에 최근 인터넷용 시스템에 시장을 빼앗기고 있다.

◇ IP (Internet Protocol.인터넷 전송방식) =90년대 중반 이후 미국의 시스코 등 중견 통신업체들이 인터넷을 통해 문자.화상 등을 전송할 수 있도록 개발한 기술.

초기엔 '라우터' 란 이름으로 빌딩내 인터넷 통신시스템으로 사용되다 인터넷 사용이 급증하면서 전송능력이 커진 '고성능 라우터' 가 개발돼 용도가 대형 건물이나 중소 도시로까지 확대됐다.

최근엔 '초고성능 기가비트 라우터' 가 개발되면서 정보고속도로의 핵심장치로 부각되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