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실업 특성조사]1년새 300만명 직장 대이동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6면

국제통화기금(IMF) 사태에 진입한 지난 1년새 일자리를 옮긴 경험이 있는 사람이 전체 취업자의 6분의1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중에서 자영업주나 상용 근로자의 40% 이상이 임시.일용직이나 집안일을 돕는 무급 가족종사자로 전락, 취업자들의 고용불안이 심각해진 상황을 드러냈다.

지난 26일 통계청이 처음 실시한 '9월중 취업자 및 실업자의 특성에 대한 부가조사' 결과 이같이 밝혀졌다.

◇ 1년새 3백만명이 전직(轉職)했다 = 9월중 취업자 2천5만명중 15.9%인 3백18만6천명이 지난해 10월 이후 한번 이상 직장을 옮긴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전직자중엔 자영업주였던 사람들이 임시직 (27.7%).일용직 (13.2%).무급 가족종사자 (3.4%) 로, 상용 근로자들이 임시직 (28.1%).일용직 (9.8%).무급 가족종사자 (4.0%) 로 각각 자리를 옮겨 고용상태가 매우 불안해졌음을 보여줬다.

◇ 실업자 어떻게 사나 = 9월중 실업자 1백57만2천명중 가구주인 71만9천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저축.퇴직금.부동산을 팔아 생계를 유지한다는 응답이 50.3%로 가장 많았다.

이밖엔 ▶배우자가 벌어온 돈(19.5%) ▶친척들의 보조(7.5%) ▶다른 가족들이 번 돈(7.5%) ▶빚을 얻음(7.0%) 등의 순.

특히 대졸이상 고학력 가구주의 경우엔 저축.퇴직금.부동산 등 모아놓은 재산을 팔아 먹고산다는 비중(54.2%)이 상대적으로 많았던 반면 중졸이하 저학력 가구주일수록 빚에 대한 의존도(9.2%)가 높았다.

◇ 실업자 재취업 왜 안되나 = 이들 실업자중엔 구직활동을 해도 도대체 일거리가 없어 취업을 못한다는 사람이 54.6%로 대다수였다.

그러나 ▶교육.기술(17.3%) ▶근무환경(6.2%) ▶임금수준(2.9%) ▶근로시간(2.7%) 등이 자신의 '입맛' 과 맞지않아 일자리를 못 구했다는 사람도 상당수였다.

신예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