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도심 선화·은행동서 둔산으로 이전 두지역 명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8면

대전법원과 검찰청의 둔산신시가지 새청사 준공식이 열린 21일 낮 12시30분쯤 대전중구선화동 구 (舊) 법원청사앞 S식당. 한달전만 해도 이 시간이면 30여개 자리에 발디딜 틈이 없었으나 이날 손님은 3명에 불과했다.

같은 시각 서구둔산동 정부대전청사 부근 C식당. 대부분의 상인들이 입버릇처럼 떠올리는 'IMF한파' 란 말이 무색하게 손님들이 꽉 차있다.

주인 姜모 (35.여) 씨는 "정부청사와 법원청사 입주 뒤 평일 점심 시간엔 1백여개 자리가 대부분 꽉차 그냥 돌아가는 손님이 하루에 20~30명에 달한다" 고 말했다.

대전의 핵심적인 도심기능이 전통적인 도심이었던 선화.은행동 일대에서 둔산신시가지로 급속히 옮겨지면서 양 지역 사이의 명암이 뚜렷하게 엇갈리고 있다.

22일 현재까지 구도심지역을 빠져나간 기관은 상공회의소.충청체신청.한국통신충남본부.KBS등 50여개. 여기에다 시중은행과 일반기업까지 합치면 1백개가 넘을 것으로 추산된다.

반면 80년대말까지만 해도 허허벌판이었던 둔산은 90년대 들어 대전시와 한국토지공사가 2백60만평 규모의 행정타운으로 조성하면서 이제 '대전의 강남 (서울)' 이 돼버렸다.

두 지역간의 명암 (明暗) 은 지방세징수액에서 가장 대표적으로 나타난다.

둔산신시가가지를 끼고 있는 서구는 올들어 9월까지의 지방세징수액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9% 늘었다.

국제통화기금 (IMF) 한파로 인해 구도심을 끼고 있는 중구 (3.2% 감소) 는 물론 전국 전국 대부분의 지방자치단체들이 세수감소로 고민중인 것과 대조적이다.

지난해말 현재 주민등록 인구는 서구가 44만5천8백여명으로 1년 사이에 2만여명 (4.5%) 늘어난 반면 중구는 25만9천6백여명으로 오히려 2천6백여명 (1.0%) 줄었다.

이에 따른 구도심 일대의 상권타격은 심각하다.

최근 대전시 조사에 따르면 중앙시장의 경우 전체 점포 (5백8개) 의 18%인 89개는 임대료 없이 관리비만 부담하는 조건에도 입주희망자가 없어 비어있다.

최근 법원이 이전한 선화동 일대의 경우 건물주들이 신청사 주변으로 이전하려는 변호사.법무사들에게 되돌려 줄 임대보증금을 마련하기 위해 사무실임대료를 절반이하로 내렸지만 찾는 사람이 없다.

반면 법원청사가 이전하면서 둔산일대는 최근 평당 임대료가 구도심의 두배가 넘는 2백50만원까지 치솟고 있다.

지난 9월 정부대전청사가 입주한 뒤 심화되고 있는 이같은 현상은 내년말 대전시청이 구시가지 (대흥동)에서 둔산으로 이전하면 더욱 뚜렷해질 전망이다.

충남대 오덕성 (吳德成.도시공학) 교수는 "도시가 커지면서 도심기능이 외곽으로 분산되는 도심공동화는 필연적 현상" 이라며 "재개발을 통해 도심기능을 회복시켜야 할 것" 이라고 말했다.

대전 = 최준호.김방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