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라크 무기사찰 제대로 이뤄질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9면

이라크의 항복으로 무기사찰이 재개되지만 사찰의 사실상 주체인 미국과 이라크의 생각이 너무 틀려 사찰이 제대로 이뤄질지 주목된다.

클린턴 미 대통령은 ^사찰단의 무제한 접근 보장^생화학무기 생산에 관련된 모든 서류 제출^사찰단 활동의 간섭 배제 등을 요구했다.

최대 걸림돌은 대량 살상무기의 파기 여부. 이라크는 91년 걸프전 패전 이후 약속대로 생화학 및 핵무기 등 모든 살상무기를 파기했다며 더 이상 제출할 서류도, 보여줄 것도 없다는 입장이다.

유엔특별사찰위원회 (UNSCOM) 는 지난 8년 동안 이라크의 생화학탄두를 해체하고 보유현황을 파악했으며 핵무기 개발계획을 저지했다는 점은 인정한다.

그러나 이라크가 ^재래식 탄두와 미사일 추진체 제거^생화학무기가 장착된 폭탄 제거 등을 입증하지 못한데다 대량 살상무기 관련자료를 은닉하고 있어 추가사찰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CIA도 이라크가 살상무기를 감추고 있으며 사찰이 중단되면 몇개월만에 관련 능력들을 재건할 수 있다고 최근 보고했다.

결국 미국이 요구하는 조건들중 어느 것도 이라크는 수긍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때문에 더 '벗을 것' 이 없다는 이라크와 더 공개하라는 미국의 입장이 충돌할 경우 언제든 위기가 재연될 수밖에 없다.

사찰단원들이 이르면 16일 바그다드로 복귀하지만 워낙 양측의 시각차가 커 순조로운 사찰활동이 이뤄질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고대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