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북풍'에 날린 국회 정상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국회 정상화가 2일 오전 여야 3당 총무회담에서 거의 합의까지 됐다가 백지화됐다.

이날 오전 3당 총무는 국회 정상화를 위해 세가지에 합의했다.

'판문점 총격 요청사건에 대한 정쟁 중단' '세풍 (稅風) 사건과 관련한 이회창 (李會昌) 총재의 입장 (유감) 표명' '연휴 직후 여야 영수회담 개최및 국회 정상화' 등. 그러나 3시간 뒤에 열린 한나라당 의원총회에서 이같은 합의를 전면 부인했다.

신 (新) 북풍에 대한 한나라당 의원들의 강한 반발로 국회 정상화 가능성은 원점으로 돌아갔다.

이 과정에서 여야 지도부가 생각하는 정상화의 수순과 가능성, 특히 수세인 한나라당 李총재측의 향후 정국해법 구상을 엿볼 수 있다.

李총재는 일단 총격 요청 사건과 국회문제 등 정치 현안을 분리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국기 (國基) 와 관련된 중대한 문제며, 공세 초점이 李총재 자신과 주변을 직접 겨누고 있어 이 문제로 국회 정상화를 미루는 것은 득보다 실이 많을 것이란 판단이다.

이른바 세풍 (稅風) 사건과 관련해선 국세청이 한나라당 대선자금 동원에 개입된 혐의가 드러난 이상 어떤 형태로든 유감 표명은 해야 한다는 인식을 가진 듯하다.

주변에선 李총재의 개입 여부와 관계없이 해명과 함께 도의적 책임감을 표시하는 것이 '도량있는 정치인' 의 모양새란 점을 잇따라 제기해왔다.

물론 방어차원에서 이 두 사건에 대한 조작의혹 등의 반박은 계속 제기한다는 것. 이같은 단계를 거쳐 李총재 자신이 제의한 영수회담이 성사되면 이들 사건의 파장을 최소화하면서 사정 (司正) 의 마감도 꾀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또 국회 등원의 명분도 챙길 수 있다는 것이 李총재측 시각이다.

김석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