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은행 외화 사정 금융위기 전 수준 회복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7면

국내 은행의 외화 사정이 지난해 리먼브러더스의 파산 사태 이전 수준으로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외환보유액은 늘어난 반면, 단기외채는 줄어 그동안 외신들이 제기하던 위기설은 점점 근거를 잃고 있다.

1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6월 말 현재 국내 18개 은행의 외화 유동성 비율은 104%로 감독당국의 기준치인 85%를 크게 웃돌았다. 이 비율은 남아 있는 만기가 3개월 이내인 외화 자산을 같은 만기의 외화 부채로 나눠 구한다. 이 비율이 하락할수록 가지고 있는 자산으로 부채를 갚기 힘들어진다는 얘기다.

물론 국내 은행의 외화 유동성 비율이 기준치 이하로 떨어진 적은 없다. 그러나 2007년 말 102.7%였던 외화 유동성 비율이 지난해 말 98.9%로 떨어진 데다, 일부 은행이 외화 채권의 만기 연장에 실패하면서 외화 자산의 건전성 문제가 도마에 오르기도 했다. 도보은 금감원 외환총괄팀장은 “외화 채권의 만기 연장 문제는 3월 이후 거의 해소됐다”며 “은행 등 금융회사의 외화 유동성 비율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외신이 집중적으로 문제 삼았던 외환보유액 대비 단기외채 비율도 안정권에 접어들고 있다. 단기외채 비율은 지난해 9월 말 79%에서 연말에는 75%로 떨어진 데 이어, 올 3월에는 71.8%를 기록했다. 또 단기외채에 1년 이내에 갚아야 할 장기외채까지 포함한 유동외채 비율도 지난해 말 96%에서 올 3월엔 90%로 하락했다.

은행들이 장기로 조달한 외화로 단기외채를 갚고 있고, 외환보유액도 늘고 있어 단기외채·유동외채 비율은 점차 낮아질 전망이다.

김준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