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종합과세 논란 어떻게 되고있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8면

국제통화기금 (IMF) 체제이후 빈부 격차가 커지면서 금융소득종합과세 부활 논란이 뜨겁다.

대다수 국민과 시민단체.학자들은 부활해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 정부는 아직 소극적이다.

금융소득종합과세는 이자.배당 등 금융소득이 1년에 4천만원을 넘는 고소득층에 최고 40%의 세금을 물리는 제도다.

정치권은 지난해말 이 제도가 국민을 불안하게 한다며 경제회복을 위해 불가피하다는 명분을 내세워 시행 2년만에 유보시킨 바 있다.

이에 대해 최근 고소득층만 봐준다는 비난 여론이 들끓자 국민회의는 '실업대책 백서' 에 내년부터 부활, 여기서 거두는 세금을 실업재원으로 쓰겠다고 밝히고 나섰다.

◇어떻게 진행돼 왔나 = 금융소득종합과세는 금융실명제 후속조치로 지난 96년부터 시행됐다. 그러나 그해 4.11 총선을 치른 정치권이 문제를 삼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이 제도 때문에 '장사하기 힘들다더라' 는 기업인의 불평을 전하다 나중에는 '고소득층 자금이 지하로 숨으면서 경제를 위축시킨다' 는 식으로 톤이 점점 강해졌다.

정치권은 지난해말 외환위기로 정신없는 틈을 타 이를 전격 유보시켰다.

◇부활 얘기 왜 나오나 = 우선 형평성이 문제된다. 정부와 여당이 3만~4만여명에 불과한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의 편의를 봐주면서, 그렇지 않아도 허덕이는 대다수 국민에게 이자소득세 인상을 통해 부담을 지우는 것은 이해할 수 없다는 지적이다.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 (KDI) 도 부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의 하승창 (河勝彰) 정책실장은 "정치인들이 정치자금 관리문제 등 자산들의 이해관계 때문에 유보시킨 측면이 크다" 며 "더욱이 국회의원 4명중 1명꼴로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 이라고 꼬집었다.

◇말바꾼 정부 = 주무부처인 재정경제부는 ▶금융소득종합과세를 유보한지 반년여밖에 안됐고 ▶경제난 극복을 위해 3당 합의로 유보한데다 ▶부활하더라도 세수에 별 도움이 안된다며 반대하고 있다.

재경부 관계자는 "금융시장 사정이 안좋은데 금융소득종합과세를 부활하면 뭉칫돈이 해외로 빠져나가거나 지하로 숨어버려 혼란이 올 것" 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지난해만 해도 재경부는 ^지하자금은 존재하지 않는다며 금융소득종합과세로 저축이 줄거나 돈이 해외로 빠져나간다는 정치권 주장은 근거없고^과세 형평을 위해서도 계속 시행해야 한다고 주장했었기 때문에 설득력이 없다.

◇어떻게 될까 = 사안의 특성상 정부는 정치권 눈치를 살피고 있다. 국민회의 실업대책 백서에 적힌 금융소득종합과세 부활 방침과 관련, 재경부는 "모르는 얘기" 라며 "국민회의 고위관계자로부터 당의 공식 방침이 아닌데도 실무진이 백서에 포함시켰다는 해명을 전해들었다" 고 설명했다.

그럼에도 부활 목소리는 점점 드세질 전망이다. IMF이후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갈수록 심해지는데다 금융소득종합과세 유보로 지하자금이 정말 제도권으로 들어왔는지, 실제 경제회복에 얼마나 도움이 됐는지 분명치 않기 때문이다.

고현곤.신예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