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대그룹]재계 빅딜 파문 수습나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김중권 (金重權) 대통령비서실장의 빅딜 (사업 맞교환) 발언이 재계에 충격을 던지며 파문이 확산되자 재계가 조기 수습에 나서고 있다.

이와 함께 정치권에선 여당이 불가피성을, 야당인 한나라당 등은 부당성을 주장하는 등 민감한 반응을 나타내는 가운데 빅딜 대상으로 알려진 기업들은 거론 자체조차 전면 부인하고 있다.

현대.삼성.LG 등 5대 그룹 구조조정본부장 (예전의 기조.비서실장) 과 손병두 (孫炳斗) 전국경제인연합회 상근부회장은 11일 아침 긴급 모임을 갖고 빅딜 문제를 협의했다.

이와 관련, 孫부회장은 기자간담회를 갖고 "3대 그룹 구조조정본부장들에게 직접 확인해 본 결과 아직 빅딜이 구체적으로 추진된 것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 말했다. 이날 오전에 열린 전경련 회장단 회의에선 삼성.현대.LG 등 3대 그룹 총수들이 모두 국내외 출장으로 불참하는 바람에 빅딜 문제는 논의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현대측 고위관계자는 "정치권 방식대로의 빅딜을 계획한 적도 없다" 고 부인했으며 삼성.LG 등도 빅딜 성사 사실에 대해 "아는 바 없다" 는 입장을 보였다.

그러나 이런 부인에도 불구하고 일부 해당 기업과 재계에는 빅딜의 성사 가능성을 크게 보고 있는가 하면 관련 기업에선 기업의 장래와 종업원들의 거취가 불안요인으로 등장하는 등 혼란이 빚어지고 있다.

민병관.양선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