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선거법 개정 협상 막바지 절충시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선관위의 선거준비시한이 다가오고 20일 한나라당 총무가 새로 등장해 꽉 막힌 여야 선거법 개정 협상에 돌파구가 생길 전망이다.우선 총무경선의 분위기에 맞추듯 한나라당 내부에서 여야가 잠정합의한 내용만이라도 먼저 처리하자는 의견이 이날 다시 제기되고 있다.

오전 총재단회의 후 한 고위당직자는 "여권의 정계개편 기도에 대한 강경대응과 별개로 선거법은 여야 합의안만이라도 선 (先) 처리하자는 공감대가 형성됐다" 고 전했다.이러한 기류변화는 선거법을 볼모로 한 여야의 정치투쟁에 대한 비판적 여론에 당지도부가 자극받은 때문인 것 같다.

당이 여권의 '의원 빼내가기' 를 규탄하며 대여 (對與) 공세를 펴고는 있지만 선거가 닥치고 있는 현실상 선거법 개정을 무작정 봉쇄하기엔 부담이 만만찮은 것이다.

사정은 여권도 마찬가지다. 국민회의측은 "애당초 총무들간 합의사항이 분리처리였다" 며 "한나라당이 분리처리만 결정한다면 반대할 이유가 없다" 고 맞장구를 치고 있다.

이런 분위기는 당장 이날 오후 여야 총무회담에서 읽혀졌다.여권은 한나라당측에 두가지를 새로 제의했다.하나는 연합공천 가능을 법으로 정하자는 요구를 거둬들인 것. 대신 여권은 연합공천 문제는 현행대로 법에서 다루지 말고 내버려두는 타협안을 제시했다.

또 여권은 한나라당이 요구하는 기초단체장 정당공천 배제 문제를 앞으로 정치개혁특위를 구성해 논의하자는 제안도 새로 던졌다.

이에 대해 한나라당의 내부기류는 "검토해 볼 수 있다" 는 쪽이다.때문에 여야의 입장변화를 감안하면 빠르면 21일중 모종의 타협이 이뤄질 가능성도 등장하고 있다.

한나라당 경선에서 총무가 새로 선출된 것도 여야협상에 새로운 자극제가 될 것 같다.여권은 "직선총무는 상당한 파워를 갖게 되므로 협상에 도움이 될 것같다" 는 반응이다.

박승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