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청문회 정말 열리나…교착정국에 여야 새 입씨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경제청문회가 교착정국에 또 하나의 쟁점으로 떠올랐다.한나라당 요구를 여권이 17일 받아들이면서다.

이 문제는 지난달 3당 총무회담에서 6월 지방선거 이후 논의키로 합의한 사안. 그러나 여야간 대립이 격화되며 또다른 싸움거리로 앞당겨졌다.여야가 장군멍군식으로 청문회를 들고나온 데는 각기 이유가 있다.

먼저 끄집어낸 한나라당은 처지가 상당히 절박하다.검찰의 '문민정부 경제비리' 수사로 목이 조여옴을 느끼면서 우선 급한 소나기는 피하자는 입장이 됐다.

혹시 청문회가 개최되면 수사가 중단될 수 있다는 한가닥 기대도 하는 듯하다.물론 청문회가 열리면 구 (舊) 여권의 경제난 책임이 드러날 것임은 뻔히 알고 있다.

하지만 당시 야당이었던 현 여권도 결코 자유롭지만은 못하리라는 계산도 있다.그러나 그보다는 '야당 파괴용 표적수사' 라는 점을 계속 부각시킴으로써 일방적인 수세입장에서 탈피하려는 의도가 더 큰 것으로 보인다.

앉아서 당하느니 청문회 공방을 통해 여권에도 얼마간 타격을 주자는 계산도 엿보인다.당 내분을 희석시키는 메뉴도 될 수 있다.

여권은 이같은 한나라당의 셈을 충분히 읽은 모습이다."경제위기 주범이 청문회를 들먹거리는 데 마다할 이유가 없다" 며 '조기 수용' 입장을 밝혔다.

한나라당의 청문회 요구를 '상투적인 궁지탈출용 공세' 라고 일축하며 강공으로 맞설 기세다.여권은 이참에 정계개편까지 이어갈 듯한 분위기다.

전날 청와대 주례보고에서 영수회담을 선거법 개정 이후로 미룬 점이나 하반기 국회 원 (院) 구성을 지방선거 이후로 늦추기로 한 것 등에서 '전면전 태세' 가 감지된다.지금으로선 청문회 개최 문제는 정치공방에 그칠 공산이 크다.

수사중단을 요구한 한나라당과 달리 여권은 수사진행과 청문회는 별개라는 입장이다.지방선거를 앞두고 여야 정면대결 양상은 극으로 치달으며 더 꼬일 전망이다.

김석현·박승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