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사기 또 활개…수법 교묘해져 반드시 현장 확인해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1면

요즘 부동산 경기침체를 틈탄 부동산 사기가 잇따르고 있다.

한동안 뜸하던 부동산 광고사기가 올들어 성행하는가 하면 가짜 개발예정지 도면 만들기, 하자 부동산 교환, 청약통장 프리미엄 가로채기, 토지사용 승낙서로 남의 돈 끌어쓰기등 다양한 수법들이 고개를 들고 있다.

◇ 광고사기 = 레스토랑 매각을 서둘고 있던 마산의 金모 (50) 씨는 올초 "일간신문에 광고를 내면 수요자를 찾아주겠다" 는 서울 K개발측의 전화 한 통화에 당한 케이스. 金씨는 매물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신문에 광고를 내야 한다는 회사측의 설명을 듣고 광고비 명목으로 4차례에 걸쳐 2백75만원을 송금했다.

그러나 1개월이 지나도 아무 소식이 없어 알아보니 회사는 돈만 받아챙기고 자취를 감췄다.

이런 사기를 당해 부동산중개업협회에 접수된 건수만도 올들어 2개월사이 24건에 이른다.

사기꾼들은 대부분 영업장소와 전화번호를 수시로 변경하고 있어 적발이 쉽지 않다.

◇ 가짜 개발계획 도면 = 서울 역삼동의 張모 (54) 씨는 퇴직금으로 충남 보령 신도시 개발예정지 땅을 샀다가 낭패본 장본인. 張씨는 서울 강남의 K컨설팅 직원이 보여준 개발계획 도면을 믿고 최근 이 지역의 땅 5백평을 평당 5만원에 매입했다.

나중에 알고 보니 이들은 가짜 도면을 만들어 평당 5천원짜리 땅을 무려 10배로 부풀려 전매차익을 남기는 사기를 친 것으로 드러났다.

◇ 부동산 교환사기 = 朴모 (52.서울 구의동) 씨는 지난1월초 생활정보지에 서울 불광동소재 18평형 아파트의 매각 광고를 냈다가 다른 부동산으로 바꾸는 교환방식으로 처분해주겠다는 무허가 중개업자의 권유를 따랐다가 낭패를 보았다.

수개월째 집이 안팔려 걱정한던 朴씨는 이 집을 총가격 6천만원중 5백만원만 받고 소유권을 넘겨주는 대신 개발예정지인 강원도 정선의 임야 3천여평을 받았다.

뒤늦게 현장을 방문해 확인한 결과, 시세가 고작 1천만원에 불과한 쓸모없는 산이었다.

朴씨는 중개업자를 찾았으나 문을 닫고 행방을 감췄다.

◇ 청약통장 되팔기 = 분당에 사는 崔모 (45.여) 씨는 지난해 10월 용인 죽전의 아파트 50평형대를 분양받을 수 있는 청약통장을 5천만원의 웃돈을 주고 구입했다.

아파트만 분양받으면 최고 1억원정도 차익을 보장해주겠다는 통장 중개업자의 말을 믿은 것. 최근 한 아파트를 분양받은 崔씨는 아파트를 되팔아주기로 약속했던 중개업소를 찾아갔으나 문이 닫혀 있었다.

이 중개업소는 아파트 지역우선 공급대상 통장을 무더기로 매입, 수천만원의 프리미엄을 얹어 되팔고 도망가 버린 것이다.

崔씨는 가뜩이나 분양가가 비싼 이 아파트를 남보다 무려 5천만원을 더 주고 분양받은 셈이다.

이밖에 계약금만 준 상태에서 토지사용 승낙서를 발급받은뒤 이를 담보로 사업자금을 빌려 도주하는 수법등도 신종사기로 등장하고 있어 부동산을 사고 팔때 세심한 주의가 요망된다.

최영진·손용태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